이미지
다양한 생활용품 속 과불화화합물(PFAS)이 체중 감량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일상에서 흔하게 접하는 각종 생활용품 속 과불화화합물(PFAS)이 체중 감량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PFAS는 물과 기름, 열에 강한 화학물질이다. 화장품·주방용품·의류·식품 포장지 등 다양한 제품을 방수하거나 코팅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인체와 환경에 축적돼 암 발생과 면역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돼 왔다. 나아가 이번 연구는 PFAS가 대사 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켁의대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비만수술을 받은 청소년 18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수술 전과 후 주기적으로 참가자들의 혈액 샘플을 채취해 이들 혈액 속 PFAS 농도와 체중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 전 혈중 PFAS 수치가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보다 수술 후 5년 뒤 체중이 두 배 더 증가했다. 연구진은 “PFAS 노출이 내분비 및 대사 과정을 방해하며 체중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PFAS에 많이 노출될 수록 체중을 성공적으로 감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바우머트 박사는 “이번 연구는 PFAS 노출이 청소년 비만수술 후 체중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대사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체중 감량 치료가 늘고 있는 만큼, PFAS가 장기 체중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특히 취약 계층 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수술 환자뿐 아니라 GLP-1 계열 주사제 등 비만 치료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전망한다. 바우머트 박사는 “오젬픽 등 체중 감량 약물과 PFAS 간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4일 미국 ‘비만학회저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