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이 여성의 혈관 노화를 가속화해 ‘혈관 나이’를 실제보다 약 5년 정도 앞당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성에게도 영향을 미치지만,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파리 시테대 로사 마리아 브루노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후유증을 겪는 사람들의 혈관 건강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보기 위해, 2020년 9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전 세계 16개국(오스트리아, 브라질, 캐나다, 프랑스 등)에서 총 2390명을 대상으로 혈관 경직도를 분석했다. 대상자들은 ▲코로나19 비감염군 ▲경증 감염군 ▲입원 치료군 ▲중환자실(ICU) 치료군 등 네 개 그룹으로 구분됐다.
혈관 경직도는 목의 경동맥과 다리의 대퇴동맥 사이를 따라 혈압 파동이 얼마나 빠르게 전달되는지를 측정하는 ‘경동맥-대퇴동맥 맥파 속도(PWV)’로 평가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혈관이 뻣뻣하고 노화가 진행됐다는 뜻이다. 경직도 측정은 감염 6개월 후와 12개월 후, 총 두 차례 이뤄졌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자 그룹 전체는 감염 후 6개월, 12개월 시점에서 모두 비감염군보다 혈관이 더 뻣뻣해졌다. 특히 여성과 롱코비드(장기 후유증) 증상을 경험한 환자에서 혈관 노화가 두드러졌다. 남성도 일부 영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여성의 경우 경증 감염군에서 PWV가 평균 0.55m/s 증가, 입원 치료군은 0.60m/s, ICU 치료군은 1.09m/s 증가했다. 연구팀은 “PWV가 0.5m/s 증가하면 혈관 나이가 약 5년 앞당겨진 것과 같다”며 “예를 들어 60세 여성의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약 3% 증가한 수준”이라고 했다.
한편, 백신 접종자는 비접종자에 비해 혈관 경직도가 낮았다. 연구팀은 시간이 지날수록 혈관 상태가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호전되는 경향도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브루노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혈관 내피에 있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를 통해 침투하는데, 이 과정에서 혈관 기능 장애와 조기 노화를 유발할 수 있다”며 “감염 방어에 관여하는 체내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도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성이 남성보다 면역 반응이 더 빠르고 강력하게 나타나 감염을 막는 데 유리하지만, 이 반응이 혈관 손상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브루노 교수는 “혈관 노화는 측정이 간단하고, 생활 습관 개선, 혈압·콜레스테롤 관리 약물로 관리할 수 있다”며 “조기 혈관 노화가 나타난 사람들은 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방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수년간 참가자들을 추적 관찰해, 이번에 발견된 조기 혈관 노화가 실제 심근경색·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지난 17일 게재됐다.
프랑스 파리 시테대 로사 마리아 브루노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후유증을 겪는 사람들의 혈관 건강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보기 위해, 2020년 9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전 세계 16개국(오스트리아, 브라질, 캐나다, 프랑스 등)에서 총 2390명을 대상으로 혈관 경직도를 분석했다. 대상자들은 ▲코로나19 비감염군 ▲경증 감염군 ▲입원 치료군 ▲중환자실(ICU) 치료군 등 네 개 그룹으로 구분됐다.
혈관 경직도는 목의 경동맥과 다리의 대퇴동맥 사이를 따라 혈압 파동이 얼마나 빠르게 전달되는지를 측정하는 ‘경동맥-대퇴동맥 맥파 속도(PWV)’로 평가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혈관이 뻣뻣하고 노화가 진행됐다는 뜻이다. 경직도 측정은 감염 6개월 후와 12개월 후, 총 두 차례 이뤄졌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자 그룹 전체는 감염 후 6개월, 12개월 시점에서 모두 비감염군보다 혈관이 더 뻣뻣해졌다. 특히 여성과 롱코비드(장기 후유증) 증상을 경험한 환자에서 혈관 노화가 두드러졌다. 남성도 일부 영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여성의 경우 경증 감염군에서 PWV가 평균 0.55m/s 증가, 입원 치료군은 0.60m/s, ICU 치료군은 1.09m/s 증가했다. 연구팀은 “PWV가 0.5m/s 증가하면 혈관 나이가 약 5년 앞당겨진 것과 같다”며 “예를 들어 60세 여성의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약 3% 증가한 수준”이라고 했다.
한편, 백신 접종자는 비접종자에 비해 혈관 경직도가 낮았다. 연구팀은 시간이 지날수록 혈관 상태가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호전되는 경향도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브루노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혈관 내피에 있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를 통해 침투하는데, 이 과정에서 혈관 기능 장애와 조기 노화를 유발할 수 있다”며 “감염 방어에 관여하는 체내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도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성이 남성보다 면역 반응이 더 빠르고 강력하게 나타나 감염을 막는 데 유리하지만, 이 반응이 혈관 손상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브루노 교수는 “혈관 노화는 측정이 간단하고, 생활 습관 개선, 혈압·콜레스테롤 관리 약물로 관리할 수 있다”며 “조기 혈관 노화가 나타난 사람들은 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방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수년간 참가자들을 추적 관찰해, 이번에 발견된 조기 혈관 노화가 실제 심근경색·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지난 17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