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 교수 단체가 환자 안전 등 국민 건강을 위해 전공의들이 원래 자리로 복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성명을 냈다.
11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11일 “전공의 복귀는 환자 안전과 전문 의료인력 양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의대교수협은 “전공의가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면 환자 안전은 더욱 강화되고, 중단됐던 전문 의료인력 양성이 재개돼 국민들에게 양질의 의료를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전공의들이 기존의 하반기 모집에서 원래 자리로 복귀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들은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해 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반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양질의 수련이 재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2월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 단체에서 최근 정부와의 대화 의지를 밝힌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정부는 전문 의료인력 양성 재개를 위한 합리적인 행정을 해달라”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새로운 집행부 선출을 기점으로 정부와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오는 19일 오후에는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의료계 현안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향과 대정부 요구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비대위가 전국 사직 전공의 8458명이 참여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꼽은 복귀 선결 조건(복수응답 가능) 1순위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76.4%)였다.
2위는 올해 초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로 입대한 전공의 및 입영대기 상태의 전공의에 대한 수련의 연속성 보장, 3위는 불가항력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4위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이었다. 비대위는 이런 여론을 참고해 새 요구안을 선보인 뒤 공식화할 전망이다.
11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11일 “전공의 복귀는 환자 안전과 전문 의료인력 양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의대교수협은 “전공의가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면 환자 안전은 더욱 강화되고, 중단됐던 전문 의료인력 양성이 재개돼 국민들에게 양질의 의료를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전공의들이 기존의 하반기 모집에서 원래 자리로 복귀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들은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해 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반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양질의 수련이 재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2월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 단체에서 최근 정부와의 대화 의지를 밝힌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정부는 전문 의료인력 양성 재개를 위한 합리적인 행정을 해달라”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새로운 집행부 선출을 기점으로 정부와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오는 19일 오후에는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의료계 현안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향과 대정부 요구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비대위가 전국 사직 전공의 8458명이 참여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꼽은 복귀 선결 조건(복수응답 가능) 1순위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76.4%)였다.
2위는 올해 초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로 입대한 전공의 및 입영대기 상태의 전공의에 대한 수련의 연속성 보장, 3위는 불가항력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4위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이었다. 비대위는 이런 여론을 참고해 새 요구안을 선보인 뒤 공식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