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부나 연인끼리 설거지, 빨래 개기 등 집안일을 함께하면 행복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12년째 관계 상담, 행동 심리학 전문가로 활동 중인 한나 로슨 박사가 부부 상담과 관계 연구를 토대로 사소한 행동이 부부 사이 유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나 로슨 박사는 “설거지를 함께 하는 일상적이고 사소한 행동만으로도 부부간 행복도가 20% 높아진다”고 말했다. 사소한 집안일을 함께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동등한 팀원으로 인식하게 되고 존중, 신뢰 등을 쌓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분석이다. 로슨 박사는 “집안일을 한쪽이 책임질 때 불만, 원망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쌓이는데 이와 달리 집안일을 함께 수행하면 정서적 유대가 강화된다”고 말했다. 설거지를 하기 위해 나란히 서는 행위 자체가 긴장 없는 대화 공간을 만들어 하루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방해받지 않고 함께 조용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일상 속 작은 활동을 함께하는 공동 의례로 받아들이면 관계 만족도가 최대 10% 증가한다는 미국 하버드대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를 주도한 마이클 노튼 교수는 “꼭 설거지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부가 매일 함께 반복하는 행동이 하나의 의례가 되면 관계 균형과 친밀감 생성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감사 표현이나 웃음 같은 감정 교류가 더해지면 효과가 배가된다. 로슨 박사는 “‘고마워’라는 감사 한 마디, 함께 웃는 시간만으로도 관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매일 설거지를 함께 하며 오늘 하루에 대해 나누고 관계를 단단하게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매일 15분 이상 감사 표현, 웃음 등 긍정적 교류를 나눈 연인은 8주 뒤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고 옥시토신 분비량이 늘었다는 미국 마운트 시나이병원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12년째 관계 상담, 행동 심리학 전문가로 활동 중인 한나 로슨 박사가 부부 상담과 관계 연구를 토대로 사소한 행동이 부부 사이 유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나 로슨 박사는 “설거지를 함께 하는 일상적이고 사소한 행동만으로도 부부간 행복도가 20% 높아진다”고 말했다. 사소한 집안일을 함께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동등한 팀원으로 인식하게 되고 존중, 신뢰 등을 쌓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분석이다. 로슨 박사는 “집안일을 한쪽이 책임질 때 불만, 원망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쌓이는데 이와 달리 집안일을 함께 수행하면 정서적 유대가 강화된다”고 말했다. 설거지를 하기 위해 나란히 서는 행위 자체가 긴장 없는 대화 공간을 만들어 하루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방해받지 않고 함께 조용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일상 속 작은 활동을 함께하는 공동 의례로 받아들이면 관계 만족도가 최대 10% 증가한다는 미국 하버드대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를 주도한 마이클 노튼 교수는 “꼭 설거지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부가 매일 함께 반복하는 행동이 하나의 의례가 되면 관계 균형과 친밀감 생성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감사 표현이나 웃음 같은 감정 교류가 더해지면 효과가 배가된다. 로슨 박사는 “‘고마워’라는 감사 한 마디, 함께 웃는 시간만으로도 관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매일 설거지를 함께 하며 오늘 하루에 대해 나누고 관계를 단단하게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매일 15분 이상 감사 표현, 웃음 등 긍정적 교류를 나눈 연인은 8주 뒤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고 옥시토신 분비량이 늘었다는 미국 마운트 시나이병원 연구 결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