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가 더워지면서 이혼을 고민하는 부부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난 6월 30일(현지시각)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이혼 지원 앱 ‘스플릿 업’이 2020년 6월부터 2025년 6월 ‘이혼 변호사’ 검색어 구글 트렌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3개월 사이 검색량이 4950% 급증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이혼 변호사’ 검색어의 2024년 6월의 검색 건수가 같은 해 1월보다 13% 증가한 총 3만600건이라는 점이다. 이는 겨울보다 여름에 이혼을 고민하는 부부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시사한다.
심리학자 다니엘 포쉬 박사는 “일조량의 증가가 뇌에 영향을 미쳐 이혼 결심을 자극할 수 있다”며 “아이들의 방학 기간이 겹치는 것도 관련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는 “여름철 기온 상승이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온도가 상승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분노 표현이나 공격적인 행동이 증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미국의 한 논문에 따르면, 2010~2099년 평균 기온 상승으로 3만건의 살인, 20만건의 강간, 320만건의 절도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거라는 예측치가 있다”고 했다.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정동청 원장도 “높은 온도는 편도체의 반응성을 높이고 전전두엽의 기능은 저하시킨다”며 “편도체는 부정적인 자극의 처리를 주로 담당하며 전전두엽은 이성적인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즉, 더위는 이성적인 판단을 저하시키고, 사람이 쉽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든다. 정 원장은 “부부 사이에서도 사소한 문제로 다툼이 잦아지거나 평소보다 싸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들의 방학 기간은 이혼과 어떤 관련이 있는 걸까? 정동청 원장은 “자녀들이 정서적으로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기”라며 “스트레스로 인한 학업에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여름에 이혼을 고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실관계를 자세히 밝혀내기 위해서는 연령대별 이혼율 통계나 자녀의 연령에 따른 이혼율 통계 등의 자료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더위가 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려면 더위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이다. 임명호 교수는 “온도가 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원한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이혼이 고민될 때는 주변에 객관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사람과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할 것을 권한다”라고 말했다. 정동청 원장은 “지나친 절약으로 에어컨을 충분히 틀지 않는다면,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며 “시원한 환경을 만들고 충분한 수분 섭취로 탈수 증상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명상이나 이완훈련 등을 통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이혼 변호사’ 검색어의 2024년 6월의 검색 건수가 같은 해 1월보다 13% 증가한 총 3만600건이라는 점이다. 이는 겨울보다 여름에 이혼을 고민하는 부부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시사한다.
심리학자 다니엘 포쉬 박사는 “일조량의 증가가 뇌에 영향을 미쳐 이혼 결심을 자극할 수 있다”며 “아이들의 방학 기간이 겹치는 것도 관련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는 “여름철 기온 상승이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온도가 상승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분노 표현이나 공격적인 행동이 증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미국의 한 논문에 따르면, 2010~2099년 평균 기온 상승으로 3만건의 살인, 20만건의 강간, 320만건의 절도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거라는 예측치가 있다”고 했다.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정동청 원장도 “높은 온도는 편도체의 반응성을 높이고 전전두엽의 기능은 저하시킨다”며 “편도체는 부정적인 자극의 처리를 주로 담당하며 전전두엽은 이성적인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즉, 더위는 이성적인 판단을 저하시키고, 사람이 쉽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든다. 정 원장은 “부부 사이에서도 사소한 문제로 다툼이 잦아지거나 평소보다 싸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들의 방학 기간은 이혼과 어떤 관련이 있는 걸까? 정동청 원장은 “자녀들이 정서적으로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기”라며 “스트레스로 인한 학업에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여름에 이혼을 고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실관계를 자세히 밝혀내기 위해서는 연령대별 이혼율 통계나 자녀의 연령에 따른 이혼율 통계 등의 자료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더위가 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려면 더위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이다. 임명호 교수는 “온도가 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원한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이혼이 고민될 때는 주변에 객관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사람과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할 것을 권한다”라고 말했다. 정동청 원장은 “지나친 절약으로 에어컨을 충분히 틀지 않는다면,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며 “시원한 환경을 만들고 충분한 수분 섭취로 탈수 증상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명상이나 이완훈련 등을 통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