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도시 곳곳에 출몰하고 있는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를 잡아 직접 요리해 먹은 유튜버의 영상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지난 6월 30일 유튜브 채널 ‘이충근’에는 ‘수천만 마리 러브버그로 버거 만들어 먹었습니다... 진짜 먹습니다(※충격주의)’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 유튜버는 괴식(괴상한 음식) 콘텐츠를 주로 선보였으며, 과거 생태계 교란종인 외래 거북이, 황소개구리 먹방을 펼친 적 있다. 유튜버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날벌레 패티는 해외에서 많이 해먹는다"며 "기름에 튀기면 고소하다"고 말했다. 이어 "맛에 대한 호기심으로 먹기 시작했다"며 "곤충도 단백질 함량이 높고 곤충이라는 것을 모르고 먹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영상에서 유튜버는 러브버그가 밀집한 인천 계양산 정상에 올라 직접 채집했다. 비닐봉지에 러브버그를 잔뜩 넣으면서 “너무 많아서 한 마리씩 잡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영상에는 산책로 나무계단에 붙어있는 러브버그를 한꺼번에 손으로 잡아 비닐에 넣는 모습도 나왔다. 집으로 돌아온 유튜버는 러브버그로 버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튜버는 “재료는 아주 간단하다”며 “아주 기가 막힌 단백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후 전분 가루, 튀김가루에 달걀 두 개를 푼 뒤 냉동실에 보관한 러브버그를 넣었다. 요리하면서 그는 “모양은 나쁘지 않다”며 “고소한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지난 6월 30일 유튜브 채널 ‘이충근’에는 ‘수천만 마리 러브버그로 버거 만들어 먹었습니다... 진짜 먹습니다(※충격주의)’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 유튜버는 괴식(괴상한 음식) 콘텐츠를 주로 선보였으며, 과거 생태계 교란종인 외래 거북이, 황소개구리 먹방을 펼친 적 있다. 유튜버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날벌레 패티는 해외에서 많이 해먹는다"며 "기름에 튀기면 고소하다"고 말했다. 이어 "맛에 대한 호기심으로 먹기 시작했다"며 "곤충도 단백질 함량이 높고 곤충이라는 것을 모르고 먹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영상에서 유튜버는 러브버그가 밀집한 인천 계양산 정상에 올라 직접 채집했다. 비닐봉지에 러브버그를 잔뜩 넣으면서 “너무 많아서 한 마리씩 잡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영상에는 산책로 나무계단에 붙어있는 러브버그를 한꺼번에 손으로 잡아 비닐에 넣는 모습도 나왔다. 집으로 돌아온 유튜버는 러브버그로 버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튜버는 “재료는 아주 간단하다”며 “아주 기가 막힌 단백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후 전분 가루, 튀김가루에 달걀 두 개를 푼 뒤 냉동실에 보관한 러브버그를 넣었다. 요리하면서 그는 “모양은 나쁘지 않다”며 “고소한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완성된 러브버그 패티를 잘라 단면을 공개한 뒤 유튜버는 “조금 건조한 햄버거 빵 같은 느낌도 난다”며 “맛있다”고 말했다. 이어 “충분히 익혔으니까 크게 문제는 없을 것 같다”며 “많이 싱겁다”고 말했다. 유튜버는 “표현하기 애매한 맛인데 엄청 고소하다는 것 말고는 딱히 그럴싸한 맛이 나지 않는다”며 “제가 생각했던 맛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러브버그는 독성도 별로 없고 생태계에 아주 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몸에 나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영상은 하루 만에 조회수가 30만 회를 넘기며 큰 관심을 끌었다. 누리꾼들은 “저걸 어떻게 만지냐” “내가 뭘 보고 있는 거냐” “유튜버 되기 어렵네” 등의 댓글을 남겼다.
러브버그를 먹어도 건강에 괜찮을까? 러브버그를 연구해온 국립생물자원관 박선재 연구관은 “가급적 먹는 것은 지양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박 연구관은 “연구했을 때 러브버그의 몸에서 균류가 발견되지는 않았다”며 “하지만 음식으로 괜찮은지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유튜버처럼) 채집하는 것 자체는 경험상 위험하지 않다”며 “장갑으로 잡는 것도, 맨손으로 잡는 것도 괜찮지만 직접 먹는 것은 지양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연구관은 “차라리 밀웜 같은 곤충은 국내 농업 관련 기관에서도 식용 곤충으로 많이 사용돼서 검증된 곤충이다”라며 러브버그 대신 먹어도 안전한 식용 곤충을 추천했다.
한편, 러브버그는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다니면서 먹이를 먹거나 비행해 ‘러브버그(사랑벌레)’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최근 몇 년 사이 기후변화 영향으로 국내에 대량 출몰하고 있다. 독성이 없고 질병을 옮기거나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은 아니라고 알려졌다. 오히려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줘 익충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여름철 개체 수가 급증하면서 불쾌감을 주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러브버그 발생 민원은 9296건으로 작년(4418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러브버그를 먹어도 건강에 괜찮을까? 러브버그를 연구해온 국립생물자원관 박선재 연구관은 “가급적 먹는 것은 지양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박 연구관은 “연구했을 때 러브버그의 몸에서 균류가 발견되지는 않았다”며 “하지만 음식으로 괜찮은지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유튜버처럼) 채집하는 것 자체는 경험상 위험하지 않다”며 “장갑으로 잡는 것도, 맨손으로 잡는 것도 괜찮지만 직접 먹는 것은 지양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연구관은 “차라리 밀웜 같은 곤충은 국내 농업 관련 기관에서도 식용 곤충으로 많이 사용돼서 검증된 곤충이다”라며 러브버그 대신 먹어도 안전한 식용 곤충을 추천했다.
한편, 러브버그는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다니면서 먹이를 먹거나 비행해 ‘러브버그(사랑벌레)’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최근 몇 년 사이 기후변화 영향으로 국내에 대량 출몰하고 있다. 독성이 없고 질병을 옮기거나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은 아니라고 알려졌다. 오히려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줘 익충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여름철 개체 수가 급증하면서 불쾌감을 주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러브버그 발생 민원은 9296건으로 작년(4418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