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의 한 10대 소녀가 여드름을 짠 뒤 알 수 없는 성분의 약을 바른 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27일 현지 매체 뚜오이쩨 등에 따르면, 하노이 국립열대성질환병원은 15세 A양이 얼굴에 생긴 염증성 여드름을 손으로 짜고, 성분이 불분명한 약물을 바른 뒤 감염돼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여드름을 짠 부위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침투했고, 균이 빠르게 번식해 뇌와 폐가 손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A양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집중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패혈성 쇼크로 사망했다.
병원은 유사한 증상을 보인 또 다른 환자 B(32)씨의 사례도 전했다. B씨 역시 이마에 난 여드름을 손으로 짠 뒤 약을 발랐고, 며칠 후 이마가 붓고 고름이 생기면서 왼쪽 눈까지 염증이 번졌다. 고열과 통증도 심해졌고, 결국 병원에서 연조직염 진단을 받았다. 이 감염 역시 방치하면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지만, B씨는 제때 치료를 받아 회복할 수 있었다.
국립열대성질환병원 피부과 전문의 응우옌 티 호아 박사는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여드름을 짜면 피부가 손상되고 박테리아가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피부 농양,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출처를 알 수 없는 연고나 약물을 자의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위험하며, 피부 트러블이 생기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화장할 때는 모공을 막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고, 이후 깨끗이 지워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현지 매체 뚜오이쩨 등에 따르면, 하노이 국립열대성질환병원은 15세 A양이 얼굴에 생긴 염증성 여드름을 손으로 짜고, 성분이 불분명한 약물을 바른 뒤 감염돼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여드름을 짠 부위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침투했고, 균이 빠르게 번식해 뇌와 폐가 손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A양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집중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패혈성 쇼크로 사망했다.
병원은 유사한 증상을 보인 또 다른 환자 B(32)씨의 사례도 전했다. B씨 역시 이마에 난 여드름을 손으로 짠 뒤 약을 발랐고, 며칠 후 이마가 붓고 고름이 생기면서 왼쪽 눈까지 염증이 번졌다. 고열과 통증도 심해졌고, 결국 병원에서 연조직염 진단을 받았다. 이 감염 역시 방치하면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지만, B씨는 제때 치료를 받아 회복할 수 있었다.
국립열대성질환병원 피부과 전문의 응우옌 티 호아 박사는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여드름을 짜면 피부가 손상되고 박테리아가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피부 농양,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출처를 알 수 없는 연고나 약물을 자의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위험하며, 피부 트러블이 생기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화장할 때는 모공을 막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고, 이후 깨끗이 지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