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조선·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기획_멍냥주치의]

이미지
고양이 꼬리 기형은 사는 데에 문제가 없다. 수술로 교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사실상 필요치도 않다. 동그라미 친 곳이 꼬리 기형이 나타난 곳이다./사진=유튜브 채널 '매탈남' 캡처
국내 1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시시콜콜한 의문이 많이 생기지만, 조언을 구할 곳은 마땅치 않습니다. 반려동물 질환에서 반려생활 노하우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한 번쯤 궁금했던 것들. 헬스조선이 1200만 반려인을 대신해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수의사에게 직접 물어보는 ‘멍냥주치의’ 코너를 매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우리의 관념 속 고양이는 꼬리가 일직선이다. 그러나 길고양이든 집고양이든 꼬리가 지팡이 모양으로 꼬부라져 있는 개체가 생각보다 많다. 꼬부라진 모양도 다들 제각각이다. 이런 꼬리 기형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수술로 교정해 주는 게 좋은 걸까?

◇꼬리 기형, 수술적 교정 필요 없어
교통사고 등으로 외상을 입어서가 아니라 선천적으로 꼬리가 기형인 경우, 크게 세 가지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로, 해당 고양이가 엄마 고양이의 뱃속에 있었을 때, 모체에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꼬리뼈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을 수 있다. 둘째로, 고양이는 여러 마리 새끼고양이를 동시에 임신하는데, 자궁 안에 새끼들이 여럿 엉겨있는 과정에서 꼬리가 눌려서 기형이 된 것일 수도 있다. 셋째로, 품종 유지를 위해 같은 종끼리만 계속 교배해온 품종묘의 경우, 근친 교배가 꼬리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

사실 꼬리가 기형이어도 고양이가 균형을 잡거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큰 문제는 없다. 그러니 굳이 꼬리를 교정할 필요는 없다.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은 “수술한 후에 환부를 핥는 것을 막으려 넥카라를 씌워둔 것처럼 특수한 상황에선 꼬리가 정상인 고양이들보다 균형 감각이 조금 떨어질 수 있지만, 사실 사는 데 큰 지장은 없다”며 “그냥 둬도 무방하고, 사실 기형인 꼬리를 수술로 교정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기형인 꼬리를 바로잡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이유는, 고양이의 꼬리뼈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이다. 꼬리를 교정하려면 구부러진 채 굳어있는 곳의 꼬리뼈를 자른 다음, 모양을 바로잡은 상태에서 플레이트(핀)을 뼈에 장착해 고정해야 한다. 혹은 잘라낸 뼛조각들을 일렬로 꿰어주는 철심을 박거나, 사람이 뼈가 부러진 곳에 깁스하듯 외부 고정 장치를 착용해야 한다. 문종선 원장은 “꼬리뼈의 크기가 너무 작으니 플레이트를 장착하거나 철심을 박아넣기 사실상 어렵고, 고양이는 계속 꼬리를 움직이는 습성이 있으니 꼬리에 깁스를 착용시키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꼬리 골절, 꼭 ‘원상회복’이 치료 목표는 아냐
꼬리가 골절되는 경우도 있다. 문종선 원장에 따르면 가정에서의 고양이 꼬리 골절은 대개 ▲보호자가 실수로 꼬리를 밟아서 ▲문틈에 꼬리가 끼어서 발생한다. 꼬리뼈가 부러진 고양이는 극심한 통증에 꼬리를 제대로 들어 올리지 못하거나, 보호자가 몸에 손을 댔을 때 아파하는 듯한 반응을 보인다. 

꼬리 기형 수술이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부러진 꼬리 수술도 어려운 편이다. 그래도 멀쩡하던 꼬리가 부러진 경우, 뼈 배열을 올바르게 잡아준 다음 그것을 고정함으로써 부러진 부분이 제대로 회복되게 하려고 시도하는 때가 있긴 하다. 문종선 원장은 “내부에 플레이트 같은 보형물을 장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역시 고양이 습성상 어렵긴 하지만 꼬리 외부에 스프린트를 대서 꼬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부러진 뼈가 붙기를 기다려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꼬리 골절 치료 목표가 늘 ‘원상회복’인 것은 아니다. 문종선 원장은 “꼬리뼈가 부러진 채 내버려두면 그 각도 그대로 붙어 꼬리가 구부러지기도 하나, 그렇게 돼도 삶에 지장이 없을 정도라면 구부러진 채 붙도록 두기도 한다”며 “다만, 골절로 인한 염증이 심해지거나 꼬리 괴사가 시작되면 부러진 부분을 잘라 단미하는 것이 오히려 추가 손상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꼬리로 가는 혈관은 무척 가늘어서, 괴사가 발생하면 약물치료를 해도 약물이 환부로 잘 전달되지 않는다. 죽은 조직을 포기하고 단미를 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