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인플루언서 최준희(22)가 앙상한 갈비뼈를 드러낸 몸매를 공개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최준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96kg에서 41~43kg 유지 중”이라며 “물 한 방울까지 계산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결실을 누리는 중”이라는 멘트와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사진에는 앙상한 뼈가 드러나는 최준희의 모습이 담겼다.
이에 누리꾼들은 “부러질 것 같다. 정말 대단하고 멋지다” “너무 말랐다. 몸도 꼭 잘 챙기면서 다이어트해라” “해골이다. 조금만 먹어라” “이건 날씬한 게 아니라 뼈마른 것” 등의 댓글을 남기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한편, 최준희는 루푸스병 치료를 위해 복용한 스테로이드 약물의 부작용으로 96kg까지 살이 쪘다가 꾸준한 다이어트로 키 170cm에 40kg대 초반 몸무게를 유지 중이다. 최준희처럼 깡마른 저체중 몸매, 건강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먼저 최준희처럼 저체중인 사람들은 대부분 음식을 충분히 먹지 않아 영양 공급이 잘 안될 수 있다. 영양 공급이 부족하면 당장 면역 세포의 기능이 떨어진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취약해진다. 실제로 저체중인 사람은 결핵이나 간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잘 걸리는 것으로 보고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저체중인 사람의 폐결핵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인 사람의 2.4배나 됐다.
또 뼈밖에 남지 않을 정도로 너무 마른 몸은 골다공증 발병률도 높일 수 있다. 서울예스병원 정형외과 도현우 대표원장은 “체중이 지나치게 적으면 뼈에 충분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골밀도가 감소한다”며 “이로 인해 골절이나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저체중인 사람은 단백질, 칼슘, 비타민D 같은 뼈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기 쉬워 근육량까지 줄고, 뼈와 관절을 지지하는 힘도 약해진다. 실제로 순천향대 부천병원 한상수 교수와 고대 안산병원 홍재영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저체중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골절 위험이 약 2.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으로 겪을 수 있는 각종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적당량의 지방을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지방 섭취량이 적으면 렙틴 호르몬 분비량이 부족해져 성호르몬 생성 과정에 문제가 생기고, 난자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해 성호르몬 결핍, 무배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렙틴 호르몬은 지방세포가 체지방을 유지하기 위해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난소에서 난자가 충분히 성숙하도록 돕는다. 그렇다고 해서 지방 섭취량만 늘려선 안 된다. 꾸준히 운동을 함께 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난 17일 최준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96kg에서 41~43kg 유지 중”이라며 “물 한 방울까지 계산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결실을 누리는 중”이라는 멘트와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사진에는 앙상한 뼈가 드러나는 최준희의 모습이 담겼다.
이에 누리꾼들은 “부러질 것 같다. 정말 대단하고 멋지다” “너무 말랐다. 몸도 꼭 잘 챙기면서 다이어트해라” “해골이다. 조금만 먹어라” “이건 날씬한 게 아니라 뼈마른 것” 등의 댓글을 남기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한편, 최준희는 루푸스병 치료를 위해 복용한 스테로이드 약물의 부작용으로 96kg까지 살이 쪘다가 꾸준한 다이어트로 키 170cm에 40kg대 초반 몸무게를 유지 중이다. 최준희처럼 깡마른 저체중 몸매, 건강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먼저 최준희처럼 저체중인 사람들은 대부분 음식을 충분히 먹지 않아 영양 공급이 잘 안될 수 있다. 영양 공급이 부족하면 당장 면역 세포의 기능이 떨어진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취약해진다. 실제로 저체중인 사람은 결핵이나 간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잘 걸리는 것으로 보고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저체중인 사람의 폐결핵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인 사람의 2.4배나 됐다.
또 뼈밖에 남지 않을 정도로 너무 마른 몸은 골다공증 발병률도 높일 수 있다. 서울예스병원 정형외과 도현우 대표원장은 “체중이 지나치게 적으면 뼈에 충분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골밀도가 감소한다”며 “이로 인해 골절이나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저체중인 사람은 단백질, 칼슘, 비타민D 같은 뼈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기 쉬워 근육량까지 줄고, 뼈와 관절을 지지하는 힘도 약해진다. 실제로 순천향대 부천병원 한상수 교수와 고대 안산병원 홍재영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저체중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골절 위험이 약 2.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으로 겪을 수 있는 각종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적당량의 지방을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지방 섭취량이 적으면 렙틴 호르몬 분비량이 부족해져 성호르몬 생성 과정에 문제가 생기고, 난자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해 성호르몬 결핍, 무배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렙틴 호르몬은 지방세포가 체지방을 유지하기 위해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난소에서 난자가 충분히 성숙하도록 돕는다. 그렇다고 해서 지방 섭취량만 늘려선 안 된다. 꾸준히 운동을 함께 하는 것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