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중국의 한 60대 남성이 극심한 가슴 통증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다가 52년 전 삼킨 칫솔을 몸속에서 발견해 제거한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6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중화왕 보도에 따르면, 중국 안후이성에 거주하는 양(64)씨는 최근 가슴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았다. 정밀 CT(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 결과 십이지장에 길이 약 15cm의 칫솔이 삽입된 것이 확인됐다. 칫솔은 이미 장 점막을 관통해 염증을 유발하고 있었으며, 장 천공(장에 구멍이 뚫리는 것)이나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의료진은 전신마취 후 복강경 수술을 진행했고, 약 40분 만에 칫솔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현재 양씨는 상태가 안정돼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강경은 복부를 작게 절개해 이 부위를 통해 복강경이라는 장비를 삽입해 내부를 보면서 진행하는 수술이다.
양씨는 “12살 때 장난삼아 칫솔을 삼켰지만, 부모님께 혼날까 봐 말하지 못했다”며 “몸에서 자연스럽게 없어졌을 거라 생각했지, 이렇게까지 오래 남아 있을 줄 몰랐다”고 말했다.
지난 16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중화왕 보도에 따르면, 중국 안후이성에 거주하는 양(64)씨는 최근 가슴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았다. 정밀 CT(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 결과 십이지장에 길이 약 15cm의 칫솔이 삽입된 것이 확인됐다. 칫솔은 이미 장 점막을 관통해 염증을 유발하고 있었으며, 장 천공(장에 구멍이 뚫리는 것)이나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의료진은 전신마취 후 복강경 수술을 진행했고, 약 40분 만에 칫솔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현재 양씨는 상태가 안정돼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강경은 복부를 작게 절개해 이 부위를 통해 복강경이라는 장비를 삽입해 내부를 보면서 진행하는 수술이다.
양씨는 “12살 때 장난삼아 칫솔을 삼켰지만, 부모님께 혼날까 봐 말하지 못했다”며 “몸에서 자연스럽게 없어졌을 거라 생각했지, 이렇게까지 오래 남아 있을 줄 몰랐다”고 말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칫솔을 52년이나 품고 있었다는 게 충격적이다” “어떻게 삼킨 거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십이지장 등 소화관은 이물질이 가장 흔하게 위치하는 부위 중 하나다. 삼킨 물건이 날카롭거나 유해한 성분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배변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려야 한다. 삼킨 이물질이 식도 등에 걸리면 구토, 호흡 곤란, 천명음, 연하 곤란, 기침, 흉골 후부 통증, 침 분비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양씨가 삼킨 칫솔처럼 길이가 긴 이물질이 몸속에 오래 있으면 장에 천공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복통, 복부팽만, 변비 등을 유발하고 이후 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장 천공뿐 아니라 장이 완전히 막히는 장폐색이 생기기도 한다. 장에 염증이 반응이 생기고 전신으로 퍼져 사망까지 이어지는 패혈증이 유발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물질을 삼켰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의료진은 식도 조영술, CT(컴퓨터 단층촬영), 엑스레이 촬영을 시행해 식도와 기도의 이물질을 감별하고 기도 천공을 확인한다. 이물질의 위치와 이물질이 소화 기관을 통과했는지 확인한다. 이물질은 종류에 따라 제거 방법이 다르다. 배터리를 삼키면 수은 중독, 납 중독, 점막 화상, 장천공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내시경으로 제거한다. 표면이 부드러운 바둑알이나 동전, 사탕 등의 이물질을 삼키면 도뇨관(소변을 배출시키는 가느다란 관)을 코로 삽입해 풍선을 팽창시켜 위 내로 밀어 넣거나 잡아당겨 제거한다. 칫솔처럼 길이가 길거나 뾰족한 물체의 경우 양씨처럼 복강경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
십이지장 등 소화관은 이물질이 가장 흔하게 위치하는 부위 중 하나다. 삼킨 물건이 날카롭거나 유해한 성분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배변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려야 한다. 삼킨 이물질이 식도 등에 걸리면 구토, 호흡 곤란, 천명음, 연하 곤란, 기침, 흉골 후부 통증, 침 분비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양씨가 삼킨 칫솔처럼 길이가 긴 이물질이 몸속에 오래 있으면 장에 천공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복통, 복부팽만, 변비 등을 유발하고 이후 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장 천공뿐 아니라 장이 완전히 막히는 장폐색이 생기기도 한다. 장에 염증이 반응이 생기고 전신으로 퍼져 사망까지 이어지는 패혈증이 유발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물질을 삼켰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의료진은 식도 조영술, CT(컴퓨터 단층촬영), 엑스레이 촬영을 시행해 식도와 기도의 이물질을 감별하고 기도 천공을 확인한다. 이물질의 위치와 이물질이 소화 기관을 통과했는지 확인한다. 이물질은 종류에 따라 제거 방법이 다르다. 배터리를 삼키면 수은 중독, 납 중독, 점막 화상, 장천공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내시경으로 제거한다. 표면이 부드러운 바둑알이나 동전, 사탕 등의 이물질을 삼키면 도뇨관(소변을 배출시키는 가느다란 관)을 코로 삽입해 풍선을 팽창시켜 위 내로 밀어 넣거나 잡아당겨 제거한다. 칫솔처럼 길이가 길거나 뾰족한 물체의 경우 양씨처럼 복강경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