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사람들은 반려견 왜 기를까? ‘이런 관계성’ 때문으로 드러나 [멍멍냥냥]
이해림 기자 | 최소라 인턴기자
입력 2025/04/24 14:47
보호자는 반려견에게 정서적 지지를 얻기도, 일방적으로 돌봐 주기도, 함께 놀기도 한다. 최근 보호자들이 반려견을 자녀와 친구가 합쳐진 독특한 존재로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헝가리 외트뵈시 로란드대 에니코 쿠비니아 교수 연구팀은 개가 인간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717명의 반려견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 연인, 가까운 친척, 친한 친구 등 자신의 주변 인물 4명과 반려견에 대한 관계 특성을 평가하는 질문을 던졌다. 질문은 ▲동반자 관계 ▲친밀감 ▲양육감 ▲만족감 ▲갈등 ▲적대감 ▲권력 관계 등 관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 보호자들은 반려견을 자녀와 친한 가장 친구 관계가 혼합된 존재로 인식했다. 반려견을 자녀처럼 양육하고 관계 안정성을 느끼면서도, 가장 친한 친구처럼 갈등 수준은 낮았다. 높은 수준의 유대감 역시 보호자와 반려견의 관계에서 두드러지는 요소였다.
보호자들이 다른 주변 인물과의 관계보다 반려견과의 관계에서 힘의 불균형을 크게 느낀다는 점도 확인됐다. 힘의 불균형은 관계를 구성하는 어느 한쪽이 강한 통제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반려견에 대해 강한 통제권을 갖고 있는 것이 보호자에게 만족감을 주고, 이것이 반려견 소유의 근본적 동기라고 분석했다.
연구 저자인 쿠바니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보호자에게 반려견이 자녀와 가장 친한 친구가 합쳐진 독특한 관계로 여겨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친밀감, 친한 친구와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편안함, 예측 가능한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안정감을 반려견에게서 모두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헝가리 외트뵈시 로란드대 에니코 쿠비니아 교수 연구팀은 개가 인간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717명의 반려견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 연인, 가까운 친척, 친한 친구 등 자신의 주변 인물 4명과 반려견에 대한 관계 특성을 평가하는 질문을 던졌다. 질문은 ▲동반자 관계 ▲친밀감 ▲양육감 ▲만족감 ▲갈등 ▲적대감 ▲권력 관계 등 관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 보호자들은 반려견을 자녀와 친한 가장 친구 관계가 혼합된 존재로 인식했다. 반려견을 자녀처럼 양육하고 관계 안정성을 느끼면서도, 가장 친한 친구처럼 갈등 수준은 낮았다. 높은 수준의 유대감 역시 보호자와 반려견의 관계에서 두드러지는 요소였다.
보호자들이 다른 주변 인물과의 관계보다 반려견과의 관계에서 힘의 불균형을 크게 느낀다는 점도 확인됐다. 힘의 불균형은 관계를 구성하는 어느 한쪽이 강한 통제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반려견에 대해 강한 통제권을 갖고 있는 것이 보호자에게 만족감을 주고, 이것이 반려견 소유의 근본적 동기라고 분석했다.
연구 저자인 쿠바니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보호자에게 반려견이 자녀와 가장 친한 친구가 합쳐진 독특한 관계로 여겨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친밀감, 친한 친구와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편안함, 예측 가능한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안정감을 반려견에게서 모두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