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식욕 부진 고양이, 병원 데려갈까? “유난 아냐” 사망률 40%인 지방간 위험 [멍멍냥냥]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
입력 2025/04/05 10:03
[헬스조선·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기획_멍냥주치의]
국내 1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시시콜콜한 의문이 많이 생기지만, 조언을 구할 곳은 마땅치 않습니다. 반려동물 질환에서 반려생활 노하우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한 번쯤 궁금했던 것들. 헬스조선이 1200만 반려인을 대신해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수의사에게 직접 물어보는 ‘멍냥주치의’ 코너를 매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반려인 궁금증] “고양이가 밥 안 먹는 것도 동물병원 데려가야 하나요?”
2박 3일간 여행을 다녀오신 고양이 보호자께서 문의해 주셨습니다. 밥그릇에 사료를 충분히 보충해둔 상태로 여행을 다녀오셨다고 합니다. 귀가해보니 사료가 거의 줄지 않았고, 보호자가 돌아온 지 이틀이 지났는데도 식욕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았다고 하셨습니다. 통 먹지 않아 걱정이긴 한데, 동물병원에 데려가야 할 정도로 중대한 사유인지 문의하셨습니다. 식욕 부진이 왜 동물병원 내원 사유인지,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이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멍냥주치의 답변] “잘 안 먹어 ‘지방간’되면 사망 위험 있으니, 2~3일 식욕 부진 시 내원 필요합니다”
식욕 부진이 며칠간 이어진 고양이들은 지방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양이 지방간은 간세포 내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뜻합니다. 고양이가 밥을 먹지 않으면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사용하기 위해 지방 조직에서 다량의 지방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절식으로 인해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하니 지방 운반에 필요한 지단백질 또한 부족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지방 성분이 제대로 이동하지 못해 간에 축적되고 맙니다.
지방간이 진행되면 식욕 부진과 구토가 생기고, 담즙 정체가 심해지면서 피부가 노랗게 되는 황달 증상이 나타납니다. 배변 양상은 설사 또는 변비 어느 쪽으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태가 더 악화되면 간 기능 부전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발작 등 신경 이상 증상과 응고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절식이 가장 큰 원인이므로 영양을 잘 공급하는 것이 치료법입니다. 다시 밥을 먹이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시기 쉽지만, 생각보다 까다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일단 식욕이 떨어져 있는 상태다 보니 스스로 식사하길 기대하기 어려워, 강제 급여가 불가피한 때가 잦습니다. 환자의 성격에 따라 강제 급여를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에는 흔히 ‘콧줄’이라고 하는 비위관을 장착해 영양을 공급합니다.
식이를 재개한 후에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영양 재개 증후군’이 찾아올 위험이 있어서입니다. 식욕 부진 환자에게 영양 공급이 재개되면, 체내에서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과하게 분비됩니다. 혈당이 강하함과 동시에 칼륨, 인의 혈중 농도가 떨어지면서 체내 에너지가 감소하고, 부정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 열량의 25%, 50%, 75% 와 같이 단계적으로 식이 급여량을 증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고양이 지방간은 사망률이 40% 정도로 보고됩니다. 높은 확률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치료의 방향은 비교적 명확하나 급하게 치료를 진행할 수 없고, 치료 반응도 천천히 나타난다는 점에서 소요되는 입원 기간이 매우 긴 질환 중 하나입니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이유를 불문하고 반려묘의 절식이 2~3일가량 나타나고 있으면 원인 감별을 위해서라도 동물병원 내원을 부탁드립니다. 식욕 부진을 일으키는 질환은 무엇이든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성 췌장염 ▲ 만성 신부전 ▲IBD(염증성 장질환) ▲담관간염 ▲FIP(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이물 섭식 등이 대표적 원인입니다. 식욕 부진이나 절식을 겪은 비만 고양이일수록 에너지로 사용하는 지방의 양이 많아 지방간이 잘 생깁니다. 비만 고양이를 기르신다면 보호자가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반려인 궁금증] “고양이가 밥 안 먹는 것도 동물병원 데려가야 하나요?”
2박 3일간 여행을 다녀오신 고양이 보호자께서 문의해 주셨습니다. 밥그릇에 사료를 충분히 보충해둔 상태로 여행을 다녀오셨다고 합니다. 귀가해보니 사료가 거의 줄지 않았고, 보호자가 돌아온 지 이틀이 지났는데도 식욕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았다고 하셨습니다. 통 먹지 않아 걱정이긴 한데, 동물병원에 데려가야 할 정도로 중대한 사유인지 문의하셨습니다. 식욕 부진이 왜 동물병원 내원 사유인지,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이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멍냥주치의 답변] “잘 안 먹어 ‘지방간’되면 사망 위험 있으니, 2~3일 식욕 부진 시 내원 필요합니다”
식욕 부진이 며칠간 이어진 고양이들은 지방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양이 지방간은 간세포 내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뜻합니다. 고양이가 밥을 먹지 않으면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사용하기 위해 지방 조직에서 다량의 지방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절식으로 인해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하니 지방 운반에 필요한 지단백질 또한 부족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지방 성분이 제대로 이동하지 못해 간에 축적되고 맙니다.
지방간이 진행되면 식욕 부진과 구토가 생기고, 담즙 정체가 심해지면서 피부가 노랗게 되는 황달 증상이 나타납니다. 배변 양상은 설사 또는 변비 어느 쪽으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태가 더 악화되면 간 기능 부전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발작 등 신경 이상 증상과 응고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절식이 가장 큰 원인이므로 영양을 잘 공급하는 것이 치료법입니다. 다시 밥을 먹이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시기 쉽지만, 생각보다 까다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일단 식욕이 떨어져 있는 상태다 보니 스스로 식사하길 기대하기 어려워, 강제 급여가 불가피한 때가 잦습니다. 환자의 성격에 따라 강제 급여를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에는 흔히 ‘콧줄’이라고 하는 비위관을 장착해 영양을 공급합니다.
식이를 재개한 후에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영양 재개 증후군’이 찾아올 위험이 있어서입니다. 식욕 부진 환자에게 영양 공급이 재개되면, 체내에서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과하게 분비됩니다. 혈당이 강하함과 동시에 칼륨, 인의 혈중 농도가 떨어지면서 체내 에너지가 감소하고, 부정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 열량의 25%, 50%, 75% 와 같이 단계적으로 식이 급여량을 증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고양이 지방간은 사망률이 40% 정도로 보고됩니다. 높은 확률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치료의 방향은 비교적 명확하나 급하게 치료를 진행할 수 없고, 치료 반응도 천천히 나타난다는 점에서 소요되는 입원 기간이 매우 긴 질환 중 하나입니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이유를 불문하고 반려묘의 절식이 2~3일가량 나타나고 있으면 원인 감별을 위해서라도 동물병원 내원을 부탁드립니다. 식욕 부진을 일으키는 질환은 무엇이든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성 췌장염 ▲ 만성 신부전 ▲IBD(염증성 장질환) ▲담관간염 ▲FIP(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이물 섭식 등이 대표적 원인입니다. 식욕 부진이나 절식을 겪은 비만 고양이일수록 에너지로 사용하는 지방의 양이 많아 지방간이 잘 생깁니다. 비만 고양이를 기르신다면 보호자가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경력사항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대표원장
한국동물병원협회 이사
前)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서울 신사점 진료과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인천점 부원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계양점 원장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대표원장
한국동물병원협회 이사
前)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서울 신사점 진료과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인천점 부원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계양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