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배역 때문에, 몸무게 줄였다 늘렸다 반복” 결국 37세에 당뇨… 톰 행크스, 혈당 조절 위해 먹는 음식은?

임민영 기자 | 홍주영 인턴기자

[해외토픽]

이미지

할리우드 유명 배우 톰 행크스(68)의 2형 당뇨병 관리법이 화제다./사진=Newsweek
영화 '포레스트 검프(1994)' '다빈치 코드(2006)' 등으로 유명한 배우 톰 행크스(68)의 2형 당뇨병 관리법이 화제다.

지난 18일(현지시각) 해외 매체 더 미러는 톰 행크스의 당뇨병 투병 과정을 재조명했다. 행크스는 지난 2013년 미국 CBS 토크쇼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에 출연해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공개했다. 당시 그는 “의사가 ‘36살부터 혈당 수치가 높았던 사실을 알고 있냐’며 제2형 당뇨병을 진단했다”고 말했다. 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분비에 장애가 생겨 혈당이 올라가는 병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돼 아예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과 차이가 있다. 행크스의 당뇨병 진단 고백 이후 미국 CBS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과 의사 홀리 필립스는 “행크스가 연기를 위해 몸무게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과정에서 당뇨병에 걸리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행크스는 영화 ‘그들만의 리그(1992)’를 찍기 위해 14㎏을 살찌웠으며, 영화 ‘캐스트 어웨이(2000)’에서는 반대로 102㎏였던 체중을 77㎏까지 감량했다. 2018년 행크스는 당뇨병의 원인에 대해 “유전적 요인과 7살 때부터 가져온 생활 습관 때문일 것이다”라며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행크스는 당뇨병 진단 이후 매일 1시간씩 운동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해 당뇨병을 관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질릴 정도로 먹는 것을 조심한다”며 혈당을 낮추는 식단을 지킨다고 전하기도 했다. 특히 행크스는 통곡물, 견과류, 생선과 닭고기를 먹으며 당뇨병을 관리했다고 했다. 그가 먹은 음식들의 효능에 대해 알아봤다.

◇통곡물
행크스는 당뇨병을 극복하기 위해 정제 탄수화물을 끊고 통곡물 위주로 탄수화물을 섭취했다. 통곡물은 도정되지 않은 곡물로, 현미, 보리, 오트밀, 통밀, 메밀 등이 있다. 통곡물에는 3개 이상의 당 분자가 결합된 복합당이 함유돼 있는데, 복합당은 소화, 흡수를 늦춰 혈당을 천천히 올린다. 섬유질도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곡물 섬유질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미국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통곡물을 일주일에 2회 이상 먹은 사람은 한 달에 1회 미만 먹은 사람에 비해 2형 당뇨병 진단율이 29% 낮았다. 백미·밀가루와 같은 정제된 탄수화물은 1개의 당 분자로 구성된 단당류인 단순당으로 이뤄진 음식으로, 복합당과 달리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견과류
견과류는 혈당을 조절해주고 포만감을 키워 당뇨병 관리에 도움이 된다. 특히 호두와 아몬드, 땅콩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호두에 다량 함유된 알파리포산은 체내 염증을 줄이고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당화혈색소란 혈액 내 포도당의 수치를 알려주는 지표로, 적혈구의 혈색소와 혈중 포도당이 결합한 정도를 뜻한다. 아몬드는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땅콩도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보건대 연구에 따르면 6개월간 하루 두 번씩 식전에 저염 땅콩 35g을 섭취한 집단이 섭취하지 않은 집단보다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견과류는 지방 함량이 45~60%인 고열량 식품이어서 하루에 한 줌(30~50g) 정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선·닭고기
행크스는 생선과 닭고기를 섭취해 영양가 높은 지방을 보충한다고 알려졌다. 생선과 닭고기는 당뇨병 환자에게 좋은 단백질 식품이다. 고등어, 꽁치, 청어 등 등푸른생선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당뇨와 관련된 심혈관 질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닭고기에는 다중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돼 있어 혈당 수치와 인슐린 저항성을 낮춘다. 인슐린 저항성은 식사 후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수록 고혈당증이 발생한다. 이외에도 닭고기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하다. 그중 닭가슴살은 100g당 단백질이 23.2g, 지방이 1g 미만 들어있어 부위 중 단백질이 가장 높고 지방이 가장 적다. 생선과 닭고기를 익힐 때는 굽거나 튀기지 않고 찌거나 삶아 먹는 것이 좋다. 또, 닭 껍질에는 지방이 많기 때문에 벗겨내고 섭취할 것을 권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