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질환

"별수 있나 뭐?" 건조한 눈 놔뒀다가 영구적으로 '이 문제' 겪을지도

한희준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눈은 항상 눈물로 덮여 촉촉하게 유지돼야 한다. 어떤 이유에서건 눈 표면의 눈물이 부족해지면 눈이 뻑뻑한 느낌이 들고, 따갑거나 충혈된다. 이를 안구건조증이라 하는데, 방치하면 시력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

눈이 건조해지면 그 즉시 눈에 증상이 나타난다.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이 느껴지고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하얀 막이 낀 것처럼 앞이 뿌옇게 보이고 ▲눈이 자주 충혈되고 ▲눈알이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들고 ▲눈이 시리고 ▲분비물이 많이 생기고 ▲눈 주변에 뻐근한 통증이 느껴지는 식이다. 밝은눈안과 강남 천현철 원장은 "안구건조증은 증상이 워낙 다양하고, 시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방치하면 일상생활을 하기가 불편해진다"며 "증상이 생겼을 때 치료해야 각막 손상이 적고, 염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증세가 점점 심해지고 만성화된다. 드물게는 각막 손상 탓에 시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충혈의 경우 수년간 방치하면 미세혈관이 사방으로 뻗어나가고 혈관 직경이 굵어져 깨끗한 눈을 되찾기 어려워진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의 양이 줄거나 ▲눈의 표면에서 증발하는 눈물의 양이 많거나 ▲코로 빠져나가는 눈물의 양이 많으면 생긴다. 여기에는 여러 생활습관이나 질병 등이 영향을 끼친다. 류마티스질환, 당뇨병, 비타민A 결핍증, 갑상선질환이 있으면 눈물이 잘 생성되지 않는다. 콘택트렌즈를 껴도 눈물이 적게 나온다.

스마트폰이나 TV 등을 오래 보는 것은 눈물 증발에 영향을 끼친다. 한 곳을 집중해서 오랫동안 바라보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든다. 눈을 자주 깜빡여야만 지방 성분이 눈 표면에 적당히 묻는데, 지방 성분이 부족하면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해버린다. 만성결막염이 있으면 수분을 결막에 붙잡아두지 못 해, 눈물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내려 가게 된다.

천현철 원장은 "​수분 섭취량을 늘리고 인공눈물을 넣으면 완화된다"며 "평상시 지내는 공간이 건조해지지 않게 하고, 눈을 자주 깜빡여서 눈물 증발을 막는 게 좋다"고 말했다. 오메가3나 감마리놀렌산을 섭취하면 눈물막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되며, 눈꺼풀에 염증이 있으면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