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와이슈
사탕인 줄 알았는데 입 안에서 “펑!”… 화상 입은 中 여성, 왜 이런 일이?
김예경 기자
입력 2025/02/14 15:51
[해외토픽]
중국의 한 여성이 사탕 모양과 비슷한 ‘캡슐 모양의 폭죽’을 입에 넣어, 입 안에서 폭발해 입 안 화상을 입은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2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 사는 여성인 우씨는 거실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TV를 보던 중 동생이 가져온 간식 봉지에서 어린 시절 먹던 사탕과 비슷한 것을 발견하고 입에 넣었다. 그러나 우씨가 입에 넣은 것은 사탕이 아닌 ‘솽파오’라 불리는 어린이용 폭죽이었다. 폭죽 회사가 캡슐 형태로 폭죽을 포장했는데, 이것이 사탕처럼 보여 우씨가 착각하고 입에 넣은 것이었다. 폭죽은 그의 입속에서 그대로 ‘펑’소리를 내며 폭발했다. 이 폭죽은 불이 없어도 일정한 충격을 받으면 폭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씨는 “순간 너무 당황해서 멍해졌다”며 “솔직히 처음에는 아픈 줄도 몰랐다”고 했다. 이어 “입 안 가득 화약 냄새가 퍼지는 것만 느껴졌다”며 “다행히 입 안이 조금 까진 것 외에는 별다른 상처를 입지 않았다”고 했다. 이에 폭죽 회사 직원은 “폭죽을 캡슐 형태로 포장한 것은 습기를 방지해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독창적인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는데, 누군가에겐 과자로 보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
우씨처럼 입 안에 뜨거운 물체가 들어가면 ‘입 안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입 안 화상은 주로 국‧죽‧커피‧수프 등 뜨거운 음식을 삼킬 때나, 뜨거운 음식이나 찜기 등 요리 중 발생하는 뜨거운 증기를 흡입하면서 발생한다. 입 안 화상은 부위에 따라 구강 화상, 인후두 화상으로 불리며 정도에 따라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으로 분류한다.
1도 화상은 가벼운 화상이다. 화상 입은 부위가 붉어지고 붓거나 미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약간의 따끔거림과 통증을 동반하지만, 호흡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2도 화상부터 주의가 필요하다. 물집이 생기고, 심한 통증과 부기,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혀나 입술 등 피부가 벗겨져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후두의 경우 부종으로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3도 화상은 피부가 손상돼 하얗거나 검게 변하고, 궤양이 생기는 등 깊은 조직까지 손상이 발생한다. 심한 통증과 함께 감각이 사라지거나, 기도가 막혀 심각한 호흡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 후 빠르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입 안 화상을 입었다면 즉시 찬물을 이용해 입 안을 헹군다. 이때 직접 얼음을 갖다 대지는 않는다. 회복될 때까지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며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 위주로 섭취한다. 보통 평균 3~4일 후 회복되지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상처 회복이 더디고 세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출혈 ▲타는 듯한 통증 ▲호흡곤란 ▲부종 ▲음성 변화 ▲목 이물감 ▲목소리 또는 기침이 나오지 않는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한편, 폭죽은 어떤 색깔의 빛을 내느냐에 따라 온도가 최대 3000도까지 상승한다. 불씨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 전체가 손상되는 3도 이상의 화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뼈나 인대가 다치는 4도 화상까지 입을 수 있다. 화상 부위도 대게 얼굴이나 손가락 등 이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부위여서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 12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 사는 여성인 우씨는 거실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TV를 보던 중 동생이 가져온 간식 봉지에서 어린 시절 먹던 사탕과 비슷한 것을 발견하고 입에 넣었다. 그러나 우씨가 입에 넣은 것은 사탕이 아닌 ‘솽파오’라 불리는 어린이용 폭죽이었다. 폭죽 회사가 캡슐 형태로 폭죽을 포장했는데, 이것이 사탕처럼 보여 우씨가 착각하고 입에 넣은 것이었다. 폭죽은 그의 입속에서 그대로 ‘펑’소리를 내며 폭발했다. 이 폭죽은 불이 없어도 일정한 충격을 받으면 폭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씨는 “순간 너무 당황해서 멍해졌다”며 “솔직히 처음에는 아픈 줄도 몰랐다”고 했다. 이어 “입 안 가득 화약 냄새가 퍼지는 것만 느껴졌다”며 “다행히 입 안이 조금 까진 것 외에는 별다른 상처를 입지 않았다”고 했다. 이에 폭죽 회사 직원은 “폭죽을 캡슐 형태로 포장한 것은 습기를 방지해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독창적인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는데, 누군가에겐 과자로 보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
우씨처럼 입 안에 뜨거운 물체가 들어가면 ‘입 안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입 안 화상은 주로 국‧죽‧커피‧수프 등 뜨거운 음식을 삼킬 때나, 뜨거운 음식이나 찜기 등 요리 중 발생하는 뜨거운 증기를 흡입하면서 발생한다. 입 안 화상은 부위에 따라 구강 화상, 인후두 화상으로 불리며 정도에 따라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으로 분류한다.
1도 화상은 가벼운 화상이다. 화상 입은 부위가 붉어지고 붓거나 미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약간의 따끔거림과 통증을 동반하지만, 호흡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2도 화상부터 주의가 필요하다. 물집이 생기고, 심한 통증과 부기,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혀나 입술 등 피부가 벗겨져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후두의 경우 부종으로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3도 화상은 피부가 손상돼 하얗거나 검게 변하고, 궤양이 생기는 등 깊은 조직까지 손상이 발생한다. 심한 통증과 함께 감각이 사라지거나, 기도가 막혀 심각한 호흡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 후 빠르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입 안 화상을 입었다면 즉시 찬물을 이용해 입 안을 헹군다. 이때 직접 얼음을 갖다 대지는 않는다. 회복될 때까지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며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 위주로 섭취한다. 보통 평균 3~4일 후 회복되지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상처 회복이 더디고 세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출혈 ▲타는 듯한 통증 ▲호흡곤란 ▲부종 ▲음성 변화 ▲목 이물감 ▲목소리 또는 기침이 나오지 않는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한편, 폭죽은 어떤 색깔의 빛을 내느냐에 따라 온도가 최대 3000도까지 상승한다. 불씨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 전체가 손상되는 3도 이상의 화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뼈나 인대가 다치는 4도 화상까지 입을 수 있다. 화상 부위도 대게 얼굴이나 손가락 등 이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부위여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