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죽을 생각은 없었어요, 하면 편해져서요"… '자해' 정말 죽음과 무관할까요?

신다운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조교수

[당신의 오늘이 안녕하길]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늘도 응급실에서 연락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손목에 막 꿰맨 듯한 상처가 가득한 젊은 환자와 그 옆을 지키고 있는 피곤함에 지친 보호자를 만났습니다. 두 사람은 저에게 말했습니다.

"죽을 생각은 없었어요. 그냥 이렇게 하면 마음이 순간 편해지거든요. 죽을 생각이 아니었는데 입원까지 해야 하나요?"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 행동은 2013년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서 처음으로 독립된 진단으로 제안됐으며, 이제 그 임상적 중요성이 조금씩 밝혀지기 시작했습니다. '1년에 5번 이상 신체 표면에 고의로 상처, 출혈, 고통을 유발하는 행동을 한 경우' '자해 행동이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신체적 손상을 목적으로 하며' '자살 의도가 없어야 한다' 등을 만족하는 경우 비자살적 행동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자살적 자해는 주로 10대 초반에 시작되며, 20대에 이로 인한 입원의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비자살적 자해를 하면서도 치료를 받지 않습니다. 응급실에서도 '자해의 상처'는 치료받으러 오지만, 자신의 '마음의 상처'에 대한 치료는 받지 않은 채로 귀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로 응급실에서 만난 환자와 보호자들은 "죽고 싶었던 것이 아니니 괜찮을 것 같다. 빨리 집에 가고 싶다"고 말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정말 죽고 싶지 않았던 자해는 죽음과 무관할까요?

죽고 싶지 않은 자해라도 사실 죽음과 매우 가깝습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 시도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위험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비자살적 자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자기 상해 행동에 대한 두려움이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그 결과 자살을 위한 자신을 다치게 하는 행동을 더욱 쉽게 시도할 수 있고, 결국 실제 자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비자살적 자해는 통증에 대한 역치를 점차 높여 자살 시도에 수반되는 통증 역시 덜 두려워지게 합니다. 이에 따라 자살 시도의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2017년을 기점으로 10대와 20대에서의 비자살적 자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해하는 이들은 '혼자'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고, '아무에게도 기대지 않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자해를 선택한다고 합니다. 즉 나의 감정과 어려움을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하려는 시도로 자해를 하는 것입니다. 더욱이 우리 사회와 가정은 자해를 숨겨서 몰래 해야 하는 일종의 '비도덕적 행동'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 결과, 자해는 더욱 비밀스러운 일이 돼버립니다. 그러다 우연히 보호자가 자해 상처를 발견했을 때, 아무렇지 않은 척하며 죽음의 의도가 없었다는 것을 공고하게 밝힘으로써 안심시키려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에 저는 자해를 하게 되는 이들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힘들었겠다고. 혼자서 그 짐을 다 짊어지고자 정말 힘들었겠노라고. 그리고 그 짐을 어쩌면 내가, 당신의 친구가, 어쩌면 당신의 가족이 나눌 수 있지 않겠냐고. 무엇이 당신을 그렇게 힘들게 했는지 궁금하다고 말입니다. 누구에게라도 당신의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해볼 수 있는 경험을 해보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런 자해의 상처를 지켜보게 되는 이들에게도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 상처를 발견한 순간에 당신도 정말 당황스럽고, 걱정됐을 것 같다고. 그래서 순간 화를 내서라도 이 행동을 멈추고 싶었을지 모르겠다고. 하지만 화를 내고 하지 말라고 다그치기보다는 그 사람의 어떤 힘듦이 자해를 통해 표현됐는지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입니다. 그 사람이 당신에게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지 알려주는 것이 화를 내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전합니다.

자해는 숨겨야 하는 잘못된 습관이 아닙니다. 당신이 혼자서 모든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를 아프게 하기보다 더 건강하게 당신의 마음을 알아갈 수 있는 시작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 자살 예방 캠페인은 보건복지부 및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대한정신건강재단·헬스조선이 함께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