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인수합병(M&A)이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에는 2기 트럼프 정부 집권 등의 영향으로 M&A가 한층 활발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세계적 회계경영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지난 12일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올해 제약, 생명과학 등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M&A 거래가치·거래량과 내년 전망 등이 담겼다.
PwC는 최근 12개월 동안(올해 11월 15일 기준)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M&A가 전년 대비 8% 감소했다고 밝혔다. 12개월간 252건의 M&A가 성사됐고, 거래가치는 2050억달러(한화 약 293조7855억원) 수준이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올해 미국 바이오헬스케어분야 M&A는 과거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라면서도 “기업들이 대체로 소규모 거래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에 전체 거래 가치는 하락했다”고 말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제약 업계에서 가장 거래 규모가 컸던 M&A는 노보 홀딩스의 CDMO 기업 카탈렌트 인수 건이다. 해당 계약은 167억달러(한화 약 23조9478억원) 규모로, 양사는 올해 말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당초 미국 국회의원과 연방거래위원회의 대대적 조사에 직면하기도 했으나, 12월 초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거래에 대해 ‘무조건적 승인’을 결정하면서 인수가 허가됐다.
바이오 업계 최대 거래는 버텍스파마슈티컬스가 알파인이뮨사이언스를 49억달러(한화 약 7조290억원)에 인수한 건이다. 알파인은 해당 계약을 통해 IgA 신병증 치료제로서 계열 내 최고(베스트 인 클래스) 잠재력을 가졌다고 알려진 ‘이중 B세포 사이토카인 작용제’에 대한 권리를 버텍스에 부여했다.
PwC는 여러 지정학적 요인 관련 불확실성 속에서도 2025년에 50억~150억달러 규모 M&A 거래가 지속·성사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2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최근 몇 년 간 미국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로부터 제지된 대규모 거래에 대한 우려가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그럼에도 신행정부에서 FDA 규제, 새로운 관세, 기타 규제 정책 조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질문은 남아있다”며 “M&A 거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지난 몇 년 동안 경제적 불확실성이 광범위하게 이어진 탓에 포트폴리오 기업을 평소보다 더 오래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분야의 경우 초기·중기 개발 단계 바이오텍들이 대기업 인수 물망에 오르고 있다. 주요 분야로는 방사성 의약품, 면역학 등이 주목된다. 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최근 몇 년 간 어려운 자금 조달 환경에도 불구하고 많은 초기·중기 개발단계 바이오기업들은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며 “대기업에 매력적인 인수 대상이 됐다”고 말했다.
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세계적 회계경영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지난 12일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올해 제약, 생명과학 등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M&A 거래가치·거래량과 내년 전망 등이 담겼다.
PwC는 최근 12개월 동안(올해 11월 15일 기준)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M&A가 전년 대비 8% 감소했다고 밝혔다. 12개월간 252건의 M&A가 성사됐고, 거래가치는 2050억달러(한화 약 293조7855억원) 수준이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올해 미국 바이오헬스케어분야 M&A는 과거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라면서도 “기업들이 대체로 소규모 거래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에 전체 거래 가치는 하락했다”고 말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제약 업계에서 가장 거래 규모가 컸던 M&A는 노보 홀딩스의 CDMO 기업 카탈렌트 인수 건이다. 해당 계약은 167억달러(한화 약 23조9478억원) 규모로, 양사는 올해 말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당초 미국 국회의원과 연방거래위원회의 대대적 조사에 직면하기도 했으나, 12월 초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거래에 대해 ‘무조건적 승인’을 결정하면서 인수가 허가됐다.
바이오 업계 최대 거래는 버텍스파마슈티컬스가 알파인이뮨사이언스를 49억달러(한화 약 7조290억원)에 인수한 건이다. 알파인은 해당 계약을 통해 IgA 신병증 치료제로서 계열 내 최고(베스트 인 클래스) 잠재력을 가졌다고 알려진 ‘이중 B세포 사이토카인 작용제’에 대한 권리를 버텍스에 부여했다.
PwC는 여러 지정학적 요인 관련 불확실성 속에서도 2025년에 50억~150억달러 규모 M&A 거래가 지속·성사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2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최근 몇 년 간 미국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로부터 제지된 대규모 거래에 대한 우려가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그럼에도 신행정부에서 FDA 규제, 새로운 관세, 기타 규제 정책 조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질문은 남아있다”며 “M&A 거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지난 몇 년 동안 경제적 불확실성이 광범위하게 이어진 탓에 포트폴리오 기업을 평소보다 더 오래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분야의 경우 초기·중기 개발 단계 바이오텍들이 대기업 인수 물망에 오르고 있다. 주요 분야로는 방사성 의약품, 면역학 등이 주목된다. 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최근 몇 년 간 어려운 자금 조달 환경에도 불구하고 많은 초기·중기 개발단계 바이오기업들은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며 “대기업에 매력적인 인수 대상이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