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외로움에서 벗어나려면? '스마트폰'을 놓으세요

백수현 계요병원 진료과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당신의 오늘이 안녕하길]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 각자의 근황 토크에 여념이 없다. 그러던 중 테이블에 올려둔 누군가의 스마트폰이 '지잉' 울린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각자 자기 스마트폰을 꺼내 잠깐 확인한다. 정적 속에서 시간이 흐른다. 누군가가 먼저 스마트폰을 내려놓으면 다시 수다가 시작된다.

종일 각자의 직장에서 일하고 온 부부. 정성껏 차린 식탁 앞에 앉는다. 마주 보고 앉아 잠깐 이야기를 하다가, 그중 한 명이 스마트폰 알람을 듣고 화면을 쳐다본다. 다른 한 명은 시선을 어디에 둘지 잠깐 고민하다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찾아 와서 기사를 클릭한다.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부모. 아이와 신나게 놀다가, 아까 온 그 문자에 답장하지 않은 것이 떠올랐다. "엄마 잠깐 문자 답장 좀 하고 올게"라고 말하고 자리를 뜬다. 화면을 보니 아까 그 문자 말고도 이런저런 알람이 와 있다. 문자에 답장하고, 알람을 확인하고, 내친 김에 다른 사람들 프로필 업데이트까지 싹 훑는다. 아이가 옆에 와서 묻는다. "엄마, 아직도 문자 답장하고 있어?" 잠깐, 이러려고 이런 게 아닌데. "어, 지금 다 했어. 금방 갈게" 하지만 엄마는 바로 스마트폰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멀리 갈 것 없이, 나의 이야기다. 나는 중학교 3학년 때 부모를 조르고 졸라 억지로 핸드폰을 장만했다. 당시의 핸드폰은 전화와 문자만 가능한,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고철같은 물건이었지만, 그것으로 언제든 친구와 소통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10대는 그런 것이다.또래에게 인정받고, 또래 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또래에게 '멋져 보이기 위해' 무엇이든 해내는 시기. 그러나 핸드폰은 우리를 아주 가깝게만 하지는 않았다. 친구와 떨어져있는 시간에 수시로 문자를 주고받으며 시시콜콜한 일상을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함께 있는 시간, 친구의 핸드폰이 울리고 친구가 그 전화에 응답하는 동안 나는 외로웠다. '저 친구는 나 말고도 계속 연락오는 친구가 있구나' '나하고 수다떠는 것보다 다른 친구의 연락을 받는 게 중요한가?' 질투나고 부럽고 무시당하는 느낌도 들었다. 불쾌한 느낌이 싫어서 나도 얼른 내 핸드폰을 봤다. 별로 친하지 않은 다른 친구에게 문자를 보냈다. 하지만 돌아오는 건 공허감이었다.

스마트폰은 사람들 사이 거리를 가깝게 만들어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우리는 오랫동안 연락이 끊긴 친구를 다시 만나고, 멀리 떨어져 사는 친구들의 근황을 알 수 있으며, 비슷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과 연결된다. 하지만 동시에 '지금 여기, 내 눈 앞에' 있는 사람과의 연결고리는 약해진다.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저)>에 의하면, 스마트폰은 우리의 주의를 너무나도 강력하게 사로잡아, 호주머니 속에서 0.1초만 진동을 해도 대부분의 사람은 혹시 중요한 정보라도 있을까봐 대면 대화를 중단한다. 상대방에게 언지하지 않고 잠시 휴대폰을 꺼내 들여다보면, 상대방은 '나는 최신 알림보다 덜 중요한 존재구나'라는 합리적인 결론을 내린다. 나이에 상관없이 '무시 당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너무 불쾌하고 아파서, 어떻게든 피하고 싶다.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시대임에도, 사람들은 예전보다 더 외로워졌다. 외로움은 겉으로 보이는 '홀로 있음'이 아니다. 눈앞의 사람에게 스마트폰보다 못한 존재로 무시당하고, 나의 가치가 '좋아요' 숫자로 평가되는 것. 외로움은 단지 친밀하게 지내야 하는 사람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와도 단절된 느낌이다.

<고립의 시대 (노리나 허츠 저)>에 의하면, 길고 깊은 고립감은 적대감을 낳는다. 스스로를 고치에 가두고 편의로 이용할 대상만을 갈구하며, 낯선 것은 신뢰하지 못하고 물어뜯는다. 외로움은 신뢰를 상실한 것이고, 우울과 불안, 자살과 자해로 이어진다. 하지만 외로운 이들이 이해받기는 여전히 어렵다. '요즘 다 힘들게 살지 너만 힘드니' '이번엔 또 뭘 들어달라고 자해한거니' '네가 부족한 게 뭐라고 우울증이니' '너처럼 친구가 많은 아이가 외롭다고? 이해가 안 되네'.


외로워서, 누군가와 연결되고 싶어서, 가장 빠르고 손쉬운 방법인 스마트폰을 열어본다. 잠깐의 외로움은 달래질지언정 화면이 꺼지고 나면 겨우 막아둔 둑이 터지듯 외로움이 밀려온다. 물론 외로움이 스마트폰 때문만은 아니다. 경제적 안정을 달성하기 어려워진 시대, 다양한 종류의 차별, 도시화된 생활,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일자리가 위태로워진 것, 그리고 모든 것을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치부하는 노력만능주의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365일, 24시간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 스마트폰. 그리고 시간을 가리지 않고 알림을 전달하는 '좋아요'와 댓글에 감시당하는 생활상은 이 모든 것이 한꺼번에 폭발하게 하는 '기폭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자식으로 태어난다. 아이는 부모와, 형제와, 어린이집 선생님과, 친구와, 동네 어른과, 문방구 사장님과, 소아과 선생님과 관계를 만들며 성장한다. 자라면서 어떤 관계는 가지치기 되고, 어떤 관계는 더 풍성해진다. 나이가 더 들면 (대개 학창시절의 시작과 함께) 온라인 관계가 생활 속으로 들어온다. 비언어적 소통을 배제하고 언어만으로 소통하는 온라인의 관계는 앙상하고, 부서지기 쉬우며, 확 타올랐다가 꺼져버리는 불꽃놀이에 가깝다. 꺼지고 나면 더 외로워서, 더 화려한 불꽃놀이를 찾아 헤매게 한다. 한편 오프라인의 관계는 성가시다. 시간을 투자해야 하고, 불안정한 상태를 견뎌내며, 쓰린 좌절을 맛봐야 할 수도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는 온라인 관계를 풍성하게 해보려 하고 오프라인 관계를 가지치기 하려고 한다. 하지만 온라인 관계의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이러한 우리의 시도는 항상 실패하고, 더 많은 외로움을 그러안게 만든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스마트폰을 확인한 친구가 가방에 스마트폰을 넣는다.
부부는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하고 스마트폰으로 업무를 본 뒤 스마트폰을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치운다.
부모는 스마트폰을 싱크대 한 켠에 올려두고 다시 아이에게 달려간다.

지금 여기 함께 있는 사람과, 몸으로 느끼고 표정과 분위기로 소통하는 것. 온라인이 익숙한 이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외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이 열린다. 쉬운 것을 포기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쉬운 것에는 대가가 있으며, 어려운 것에는 보상이 따른다. 지금, 이 스마트폰을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나와 함께 있는 사람의 얼굴을 살펴보자. 혼자 해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함께 있는 사람이 동참해야 효과적이다. 모두 스마트폰을 가방에 넣고, 잠시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지금 여기에 함께 존재하기를.​

[본 자살 예방 캠페인은 보건복지부 및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대한정신건강재단·헬스조선이 함께합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