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만두·호빵 먹다 입 화상, 생각보다 흔해… "'이렇게' 먹어야 안전"

이해나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날씨가 추워지면 자연스럽게 만두, 호빵, 호떡 등 김이 나는 뜨거운 음식을 찾게 된다. 그런데 너무 뜨거운 음식을 먹다가 입 안에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입 안 화상은 주로 국, 죽, 찌개, 커피, 차, 수프 등 뜨거운 음식을 삼킬 때나, 뜨거운 음식이나 찜기 등 요리 중 발생하는 뜨거운 증기를 흡입하면서 발생한다. 입 안 화상은 부위에 따라 구강 화상, 인후두 화상으로 불리며 정도에 따라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으로 분류한다.

1도 화상은 가벼운 화상이다. 화상 입은 부위가 붉어지고 붓거나 미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말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약간의 따끔거림과 통증을 동반하지만 호흡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2도 화상부터 주의가 필요하다. 물집이 생기고, 심한 통증과 부기,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혀나 입술 등 피부가 벗겨져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후두의 경우 부종으로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각한 3도 화상은 피부가 손상돼 하얗거나 검게 변하고, 궤양이 생기는 등 깊은 조직까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통증과 함께 감각이 사라지거나, 기도가 막혀 심각한 호흡 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 후 빠르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가벼운 화상인 경우, 즉시 찬물을 이용해 입안을 헹군다. 이때 직접 얼음을 갖다 대지는 않는다. 화상 부위가 탈수되지 않도록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회복될 때까지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며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 위주로 섭취한다. 보통 평균 3~4일 후 회복되지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상처 회복이 더디고 세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위생에 신경 쓰고 통증이나 상처가 크거나 상처 회복이 더디면 의료진 진단 후 소염진통제나 바르는 연고 등을 처방받아 치료해야 한다. 출혈, 타는 듯한 통증, 호흡 곤란, 심한 부종, 음성 변화, 목 이물감, 목소리 또는 기침이 나오지 않는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대동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정종희 과장은 "뜨거운 음식을 먹고 입 안을 데여본 경험은 한 번쯤 있을 것"이라며 "대부분 가벼운 화상이지만, 자칫 잘못된 자가 판단으로 방치하면 염증이 심해지고 다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증상을 자세히 살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특히 인후두 화상은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어 즉시 치료해야 한다"며 "구강과 인후두 화상을 예방하려면 음식 섭취 전 온도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했다. 수증기가 눈에 보일 정도로 뜨거운 음식은 접시에 덜어 잠시 식힌 후 섭취해야 한다. 호빵, 만두, 호떡, 군고구마 등 겉보다 속이 더 뜨거운 음식은 입으로 바로 자르지 말고, 젓가락 등을 활용에 자른 뒤 식혀 먹는다. 정 과장은 "령자나 어린이는 다른 연령보다 쉽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