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재집권 성공한 트럼프… 글로벌 제약 산업에 어떤 영향 미칠까?

정준엽 기자

이미지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미국 47대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78)가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60) 후보를 꺾고 재선에 성공하면서, 향후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제약 업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피어스파마·바이오스페이스 등 의약전문매체는 트럼프의 당선이 글로벌 제약업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업계 전문가들의 예상을 6일(현지시간) 공유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중소 바이오기업의 인수합병(M&A)이 더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1기 정부 당시 글로벌 약가 인하 기조를 보인 만큼 변화하는 시장에 대비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M&A 정부 개입 줄어들 것… 약가 인하 기조 유지 예상"
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정부의 제약 정책은 1기 정부와 비슷한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선 업계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부분은 기업 간 M&A에 대한 정부의 개입 감소다. 그동안 공화당은 정권을 잡을 때마다 의료·제약 분야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트럼프 2기 정부 또한 중소 바이오기업의 M&A에 더 우호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M&A에 대해 엄격한 기조를 이어갔던 FTC(연방거래위원회) 리나 칸 위원장이 교체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약가 인하 정책의 확대는 해리스 후보의 공약이었기 때문에 해당 정책이 확대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트럼프도 전반적으로 대형 제약사들의 약가 인하에 대해서는 지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추진했던 '국제 가격 연계 정책(Most Favored Nation, 최혜국 대우)'이다. 즉, 미국에서 판매되는 약물의 가격을 다른 국가의 평균 약가 수준과 연계하려는 모델을 말한다. 비록 당시 미국 법원은 트럼프의 정책 제정 과정이 적법한 절차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각했지만, 당시 이 정책은 글로벌 약가 기준 설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2기 정부 또한 이와 유사한 정책을 재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또 한 가지는 2021년 발효한 병원·의료 서비스의 가격 투명성 제고 정책이다. 해당 정책은 약가·진료비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 환자들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제약사들로 하여금 가격을 합리적으로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낳았다. 트럼프는 비슷한 기조를 2기 행정부에서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평균 약가가 높은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가격 전략 조정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약가 인하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정부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혁신 의약품 개발을 강화하거나 다른 국가 시장에서의 가격 인상 등을 도모해야 한다고 예상했다.

◇'백신 음모론자'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정책 주요 인사 가능성
트럼프가 예고한 보건정책 인사 개편도 업계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특히 트럼프가 최근 유세 과정에서 임명을 예고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케네디 주니어는 트럼프가 정권에 복귀할 경우 백악관에서 제약산업과 보건정책을 비롯한 공중보건 수장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업계는 이에 대해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 8월 대통령 후보 사퇴를 선언하고 트럼프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합의가 오고 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케네디가 FDA에 독립적인 권한을 부여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달리 FDA의 운영에 개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만큼, 전 세계적으로 의약품의 승인·규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케네디가 '백신 음모론자'라는 별명이 붙는 등 백신에 회의적인 인사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는 앞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부터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고 주장하며 백신 반대 운동을 전개한 바 있다. 상원의 인사청문회가 필요한 장관직 대신 행정부 내각으로의 임명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