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주최 해외 의료인 채용 설명회에 참여한 한국 의사 중 절반 이상이 전공의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1일 조선일보 취재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싱가포르 보건부 산하 공공의료 서비스 지주회사 MOH홀딩스가 서울의 한 호텔에서 주최한 해외 의료인 채용 설명회에 참가한 한국 의사 200여 명 중 절반가량이 ‘전공의’였다. 전공의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수련을 받는 인턴, 레지던트를 말한다. 해외 의료인 채용 설명회에는 통상 전공의보다 전문의가 많이 몰린다. 주최 측은 참석자 모집에 2주가량 걸릴 것으로 생각했는데, 신청자가 몰려 3일 만에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 설명회에 200여 명의 의사가 몰린 것은 이례적이다. 싱가포르는 전 세계 103개 의대 출신만 자국에서 의사 면허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선 서울대 의대, 연세대 의대만 포함된다. 나머지 대학을 졸업한 의사는 싱가포르에서 의료행위를 하려면 싱가포르 보건 당국의 의사 면허 인증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해당 설명회에서 싱가포르 의사 면허, 전문의 취득 과정, 근무 시간, 근무 조건, 업무 강도에 관한 질문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서 면접을 본 의사도 30명에 달했다. 의료 대란 이후 대학병원 취업이 어려워진 간호사들도 100여 명 참가했다.
사직 전공의들이 싱가포르뿐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 취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대한의사협회에서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해외 진출 정책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전공의들의 해외 진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의료행위를 하려면 별도의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이때 정부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일본은 언어 장벽이 높다. 일본 의사국시를 치루려면 먼저 JLPT(일본어능력시험)1급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일본 의사국시와 함께 언어 능력이 필요한 일본어진료능력조사시험도 합격해야 한다.
한편,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까지 126개 의료기관이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수련 지원서를 받은 결과, 전체 모집 대상 7645명 중 1.4%인 104명만 지원했다. 그중 레지던트가 91명, 인턴은 13명 이었다. 정부는 추가 모집을 위한 문을 열어두면서도, 전공의 의존도가 높았던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등 의료개혁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1일 조선일보 취재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싱가포르 보건부 산하 공공의료 서비스 지주회사 MOH홀딩스가 서울의 한 호텔에서 주최한 해외 의료인 채용 설명회에 참가한 한국 의사 200여 명 중 절반가량이 ‘전공의’였다. 전공의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수련을 받는 인턴, 레지던트를 말한다. 해외 의료인 채용 설명회에는 통상 전공의보다 전문의가 많이 몰린다. 주최 측은 참석자 모집에 2주가량 걸릴 것으로 생각했는데, 신청자가 몰려 3일 만에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 설명회에 200여 명의 의사가 몰린 것은 이례적이다. 싱가포르는 전 세계 103개 의대 출신만 자국에서 의사 면허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선 서울대 의대, 연세대 의대만 포함된다. 나머지 대학을 졸업한 의사는 싱가포르에서 의료행위를 하려면 싱가포르 보건 당국의 의사 면허 인증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해당 설명회에서 싱가포르 의사 면허, 전문의 취득 과정, 근무 시간, 근무 조건, 업무 강도에 관한 질문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서 면접을 본 의사도 30명에 달했다. 의료 대란 이후 대학병원 취업이 어려워진 간호사들도 100여 명 참가했다.
사직 전공의들이 싱가포르뿐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 취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대한의사협회에서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해외 진출 정책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전공의들의 해외 진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의료행위를 하려면 별도의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이때 정부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일본은 언어 장벽이 높다. 일본 의사국시를 치루려면 먼저 JLPT(일본어능력시험)1급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일본 의사국시와 함께 언어 능력이 필요한 일본어진료능력조사시험도 합격해야 한다.
한편,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까지 126개 의료기관이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수련 지원서를 받은 결과, 전체 모집 대상 7645명 중 1.4%인 104명만 지원했다. 그중 레지던트가 91명, 인턴은 13명 이었다. 정부는 추가 모집을 위한 문을 열어두면서도, 전공의 의존도가 높았던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등 의료개혁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