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각 병원에서 전공의 사직이 이어지면서 입원·수술 등 진료가 차질을 빚는 가운데 이들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임상강사와 전임의까지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이들까지 의료 현장을 떠나면 사실상 의료 시스템이 마비될 가능성이 크다.
전국 임상강사·전임의 및 예비 임상강사·전임의 단체는 20일 입장문을 통해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 어린 제언이 모두 묵살되고, 국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현재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에도 수련 병원에 남아 더 나은 임상의와 연구자로서의 소양을 쌓고자 했으나, 정부의 방침은 더 나은 의사가 되는 걸 포기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임상강사·전임의 단체는 "정부에서 발표한 정책은 낮은 필수의료 수가 및 비정상적인 심평원 심사 기준 진료 등 의료계의 현실과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야기될 앞으로의 대한민국 보건현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사안이 단순히 의대정원 증원의 문제로 치부되고 있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가 현장에서 일하는 의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채 의료 정책을 발표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의료 혼란과 공백을 초래한 복지부에 의료인에 대한 협박과 탄압을 중단하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전국 임상강사·전임의 및 예비 임상강사·전임의 단체는 20일 입장문을 통해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 어린 제언이 모두 묵살되고, 국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현재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에도 수련 병원에 남아 더 나은 임상의와 연구자로서의 소양을 쌓고자 했으나, 정부의 방침은 더 나은 의사가 되는 걸 포기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임상강사·전임의 단체는 "정부에서 발표한 정책은 낮은 필수의료 수가 및 비정상적인 심평원 심사 기준 진료 등 의료계의 현실과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야기될 앞으로의 대한민국 보건현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사안이 단순히 의대정원 증원의 문제로 치부되고 있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가 현장에서 일하는 의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채 의료 정책을 발표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의료 혼란과 공백을 초래한 복지부에 의료인에 대한 협박과 탄압을 중단하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