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불닭 먹고 화장실 가면 항문 화끈거리는 사람… 이유가 있다
이해림 기자
입력 2023/10/24 05:00
스트레스를 없애려 엽기떡볶이, 불닭볶음면, 닭발 등 매운 음식을 먹는 사람이 많다. 먹을 땐 즐겁지만 나중엔 고통스러워진다. 매운 음식을 먹은 다음 날 항문이 화끈거리는 작열감을 느끼거나 설사하는 때도 있기 때문인데,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걸까?
매운맛은 사실 통증이다. 혀의 미뢰가 느끼는 단맛, 신맛, 쓴맛, 감칠맛과 달리 매운맛은 뇌에서 감지한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과 후추의 피페린은 피부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캡사이신 수용체(TRPV1)와 결합한다. 그 뒤 세포 흡수 과정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돼 뇌로 이동한다. 우리 뇌는 이렇게 전달된 전기신호를 열에 의한 통증으로 해석한다. 약 43도의 열에 닿았을 때 느낄 수 있는 통증과 비슷하다고 한다.
항문의 작열감 역시 캡사이신 수용체에 의한 것이다. 소량의 캡사이신은 대장에서 전부 흡수되므로 항문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떡볶이, 마라탕, 매운 라면처럼 캡사이신이 많은 음식을 먹은 후엔 대장에서 채 흡수되지 못한 캡사이신이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캡사이신이 항문에 있는 캡사이신 수용체와 다시 한 번 결합하며 열감과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캡사이신 수용체의 분포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항문에 캡사이신 수용체가 적어서 통증이 약한 사람도 있다. 또 매운 걸 잘 먹는 사람은 캡사이신 수용체의 수가 적어 뇌가 느끼는 고통도 적다. 과거에 매운 음식을 잘 먹던 사람이 갑자기 못 먹게 되는 때도 있는데, 이는 매운 음식을 오랜 기간 먹지 않아 몸의 시스템이 캡사이신 수용체 분포에 변화를 줬기 때문일 수 있다.
소량의 캡사이신은 건강에 이롭다. 혈관을 확장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엔돌핀을 분비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다량의 캡사이신은 위점막을 손상시켜 만성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떡볶이, 마라탕 등 인기 많은 매운 음식은 기름지거나 밀가루로 만들어져있어 비만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매운맛은 사실 통증이다. 혀의 미뢰가 느끼는 단맛, 신맛, 쓴맛, 감칠맛과 달리 매운맛은 뇌에서 감지한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과 후추의 피페린은 피부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캡사이신 수용체(TRPV1)와 결합한다. 그 뒤 세포 흡수 과정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돼 뇌로 이동한다. 우리 뇌는 이렇게 전달된 전기신호를 열에 의한 통증으로 해석한다. 약 43도의 열에 닿았을 때 느낄 수 있는 통증과 비슷하다고 한다.
항문의 작열감 역시 캡사이신 수용체에 의한 것이다. 소량의 캡사이신은 대장에서 전부 흡수되므로 항문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떡볶이, 마라탕, 매운 라면처럼 캡사이신이 많은 음식을 먹은 후엔 대장에서 채 흡수되지 못한 캡사이신이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캡사이신이 항문에 있는 캡사이신 수용체와 다시 한 번 결합하며 열감과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캡사이신 수용체의 분포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항문에 캡사이신 수용체가 적어서 통증이 약한 사람도 있다. 또 매운 걸 잘 먹는 사람은 캡사이신 수용체의 수가 적어 뇌가 느끼는 고통도 적다. 과거에 매운 음식을 잘 먹던 사람이 갑자기 못 먹게 되는 때도 있는데, 이는 매운 음식을 오랜 기간 먹지 않아 몸의 시스템이 캡사이신 수용체 분포에 변화를 줬기 때문일 수 있다.
소량의 캡사이신은 건강에 이롭다. 혈관을 확장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엔돌핀을 분비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다량의 캡사이신은 위점막을 손상시켜 만성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떡볶이, 마라탕 등 인기 많은 매운 음식은 기름지거나 밀가루로 만들어져있어 비만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