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오늘 밤 개회식을 시작으로 10월 8일까지 16일간 이어진다. 중국 내 코로나19 여파로 1년 연기돼 5년 만에 열리는 19회 아시안게임에 국가대표 선수단에도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대회를 앞둔 선수들은 '징크스'라고 불리는 특정 행동을 꺼리고,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한 자신만의 '루틴'을 따르기도 한다. 이 또한 중요한 멘탈 관리이기 때문이다.
대한체육회가 발간한 선수단 자료집에 따르면 이번 대표팀 선수 1140명 중 166명의 각양각색 징크스와 루틴이 담겨있다. 몇몇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경기 전 식단을 조절하는 유형이 있다. ▲남자 양궁 김우진(청주시청)은 경기를 ‘말아 먹지’ 않기 위해 국에 밥을 말아 먹지 않는다고 한다. 또 "과거 시합 전에 빵을 먹었다가 0점을 쏜 기억이 있어서 빵도 먹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자 펜싱 송세라(부산광역시청)는 경기 전 아침 식사로 발열 도시락 한 봉지를 꼭 먹는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장구를 착용하고 정비하기도 한다. ▲여자 수영 아티스틱스위밍 이리영(부산광역시수영연맹)은 렌즈를 왼쪽부터 끼는 루틴을 따르고 ▲여자 배드민턴 안세영(삼성생명)도 시합 전 신발 끈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습관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남자 축구 이재익(서울 이랜드 FC)은 경기장에 선을 밟지 않고 들어간다거나 ▲남자 양궁 김우진과 여자 크라쉬 이예주(대한크라쉬연맹)는 숫자 '4'를 쓰거나, 보는 행위를 피하려고 애쓴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진다. 이처럼 운동선수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이 집착하는 징크스, 실제로 도움이 될까?
◇심리 안정 효과 주지만, 과하면 강박 위험도
보통 한 가지에 집착하는 경험은 반복적으로 나쁜 일로 일어날 때 징크스와 연관을 짓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징크스나 루틴은 분명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루틴을 지킴으로써 긴장감, 불안한 마음 등을 가라앉히고, 계획했던 일에 순조롭게 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루틴이 경기나 시험 등 중요한 일을 앞두고 행해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루틴이 주는 심리 안정 효과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루틴은 약을 먹거나 외출 전 물건을 챙기는 등 평소 잊어선 안 되는 일들을 상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무기력에 빠진 사람에게는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징크스에 대한 집착도 너무 과하면 독이 될 수 있다. 루틴에 대한 심한 집착은 불안감을 유발하고 집중력을 흩트려놓는다. 강박장애 증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걸을 때도 일렬로 똑바로 걷지 못하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와 걷는다거나,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에도 똑같이 집착하는 경우다. 이는 직장‧사회 생활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목표 달성 위한 보조 도구’라고 생각해야
루틴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좋은 루틴을 만들고, 적절한 방식으로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루틴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도구’라는 생각을 가지는 게 좋다. 본연의 업무를 잊고 루틴에만 빠져있지 않은지, 너무 많은 루틴을 만들고 이를 지키기 위해 애쓰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돌아봐야 한다. 또한 목표 의식이 불분명할수록 루틴에 더욱 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위해 루틴을 지키는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 혼자 조절하기 어렵다면 정신과에서 약물치료와 성격치료를 받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강박관념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해서는 정신분석과 같은 자신의 문제를 통찰할 수 있는 일종의 성격치료가 효과적이다. 또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강박증은 자신도 미처 의식하지 못하는 강박 또는 편집적 행동을 전문가와 함께 관찰하고 이해하는 단기 역동치료도 도움이 된다.
대한체육회가 발간한 선수단 자료집에 따르면 이번 대표팀 선수 1140명 중 166명의 각양각색 징크스와 루틴이 담겨있다. 몇몇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경기 전 식단을 조절하는 유형이 있다. ▲남자 양궁 김우진(청주시청)은 경기를 ‘말아 먹지’ 않기 위해 국에 밥을 말아 먹지 않는다고 한다. 또 "과거 시합 전에 빵을 먹었다가 0점을 쏜 기억이 있어서 빵도 먹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자 펜싱 송세라(부산광역시청)는 경기 전 아침 식사로 발열 도시락 한 봉지를 꼭 먹는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장구를 착용하고 정비하기도 한다. ▲여자 수영 아티스틱스위밍 이리영(부산광역시수영연맹)은 렌즈를 왼쪽부터 끼는 루틴을 따르고 ▲여자 배드민턴 안세영(삼성생명)도 시합 전 신발 끈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습관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남자 축구 이재익(서울 이랜드 FC)은 경기장에 선을 밟지 않고 들어간다거나 ▲남자 양궁 김우진과 여자 크라쉬 이예주(대한크라쉬연맹)는 숫자 '4'를 쓰거나, 보는 행위를 피하려고 애쓴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진다. 이처럼 운동선수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이 집착하는 징크스, 실제로 도움이 될까?
◇심리 안정 효과 주지만, 과하면 강박 위험도
보통 한 가지에 집착하는 경험은 반복적으로 나쁜 일로 일어날 때 징크스와 연관을 짓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징크스나 루틴은 분명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루틴을 지킴으로써 긴장감, 불안한 마음 등을 가라앉히고, 계획했던 일에 순조롭게 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루틴이 경기나 시험 등 중요한 일을 앞두고 행해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루틴이 주는 심리 안정 효과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루틴은 약을 먹거나 외출 전 물건을 챙기는 등 평소 잊어선 안 되는 일들을 상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무기력에 빠진 사람에게는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징크스에 대한 집착도 너무 과하면 독이 될 수 있다. 루틴에 대한 심한 집착은 불안감을 유발하고 집중력을 흩트려놓는다. 강박장애 증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걸을 때도 일렬로 똑바로 걷지 못하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와 걷는다거나,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에도 똑같이 집착하는 경우다. 이는 직장‧사회 생활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목표 달성 위한 보조 도구’라고 생각해야
루틴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좋은 루틴을 만들고, 적절한 방식으로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루틴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도구’라는 생각을 가지는 게 좋다. 본연의 업무를 잊고 루틴에만 빠져있지 않은지, 너무 많은 루틴을 만들고 이를 지키기 위해 애쓰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돌아봐야 한다. 또한 목표 의식이 불분명할수록 루틴에 더욱 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위해 루틴을 지키는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 혼자 조절하기 어렵다면 정신과에서 약물치료와 성격치료를 받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강박관념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해서는 정신분석과 같은 자신의 문제를 통찰할 수 있는 일종의 성격치료가 효과적이다. 또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강박증은 자신도 미처 의식하지 못하는 강박 또는 편집적 행동을 전문가와 함께 관찰하고 이해하는 단기 역동치료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