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심했다. 강아지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에 걸릴 줄 누가 알았나. 낮밤 가리지 않고 틀어놓던 에어컨이 문제였다. 어김없이 코가 막혔다. 특히 한 쪽 코가 작은 숨도 새어 나오지 못할 만큼 ‘꽉’ 막혔다. 잠들기 위해 오른쪽·왼쪽을 번갈아 돌아눕다가 문득 궁금해졌다. 왜 유독 한 쪽만 막히는 걸까?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양쪽 콧구멍으로 번갈아가며 숨을 쉰다. 자율신경계에 의한 현상이다. 전문용어로 ‘비주기(鼻週期)’라고 한다. 비주기는 사람마다 다르며, 보통 1~4시간마다 바뀐다.
어느 쪽으로 숨을 쉴지는 양쪽 코 점막 수축·팽창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코 점막이 수축돼 오른쪽 콧구멍의 숨길이 넓어지면, 왼쪽 점막이 팽창하면서 왼쪽 콧구멍의 숨길이 좁아진다. 이 경우 오른쪽으로만 주로 숨을 쉰다.
한쪽 코만 막히는 것도 같은 원리다. 찬바람, 병균 등이 콧구멍으로 들어오면 콧속 ‘하비갑개’가 부풀어 오른다. 하비갑개는 코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습도·먼지 등을 조절하는 뼈 점막이다. 비주기에 의해 이미 한쪽 콧구멍 숨길이 좁아진 상태에서 하비갑개까지 비대해지면 숨이 들어오고 나가는 길이 꽉 막힌다. 반면 숨길이 확보된 쪽은 하비갑개가 부풀어 올라도 막힘없이 숨을 쉴 수 있다. 특히 누운 상태에서는 머리에 피가 쏠리고 혈관이 팽창하면서 하비갑개 또한 잘 부풀어 오른다. 자연스럽게 코도 막힌다. 한 쪽으로 누울 때마다 누운 쪽 코가 꽉 막혔던 이유다.
<번외편>
특별한 이유 없이 한쪽 코에서만 코피가 자주 난다면 비부비동 종양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코 안쪽 빈 공간을 부비동과 비강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생기는 종양을 비부비동 종양이라고 한다. 비부비동 종양은 비대칭적으로 발생해, 코피, 코막힘 등과 같은 증상이 한쪽에만 나타난다.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 사람도 한쪽 코에서만 코피가 날 수 있다. 비중격은 코 중앙에서 코를 지탱하는 뼈다. 사람은 대부분 비중격이 휘어있는데, 그 정도가 심해 한쪽 코가 막힌 경우 ‘비중격 만곡증’으로 진단한다. 비중격 만곡증이 있으면 코 내부 공기가 제대로 순환하지 못해 특정 부위가 건조해지고 코피가 날 수 있다. 이때 한 쪽 코가 콧물 등으로 막혀있어, 반대쪽 코에서만 코피가 난다.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양쪽 콧구멍으로 번갈아가며 숨을 쉰다. 자율신경계에 의한 현상이다. 전문용어로 ‘비주기(鼻週期)’라고 한다. 비주기는 사람마다 다르며, 보통 1~4시간마다 바뀐다.
어느 쪽으로 숨을 쉴지는 양쪽 코 점막 수축·팽창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코 점막이 수축돼 오른쪽 콧구멍의 숨길이 넓어지면, 왼쪽 점막이 팽창하면서 왼쪽 콧구멍의 숨길이 좁아진다. 이 경우 오른쪽으로만 주로 숨을 쉰다.
한쪽 코만 막히는 것도 같은 원리다. 찬바람, 병균 등이 콧구멍으로 들어오면 콧속 ‘하비갑개’가 부풀어 오른다. 하비갑개는 코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습도·먼지 등을 조절하는 뼈 점막이다. 비주기에 의해 이미 한쪽 콧구멍 숨길이 좁아진 상태에서 하비갑개까지 비대해지면 숨이 들어오고 나가는 길이 꽉 막힌다. 반면 숨길이 확보된 쪽은 하비갑개가 부풀어 올라도 막힘없이 숨을 쉴 수 있다. 특히 누운 상태에서는 머리에 피가 쏠리고 혈관이 팽창하면서 하비갑개 또한 잘 부풀어 오른다. 자연스럽게 코도 막힌다. 한 쪽으로 누울 때마다 누운 쪽 코가 꽉 막혔던 이유다.
<번외편>
특별한 이유 없이 한쪽 코에서만 코피가 자주 난다면 비부비동 종양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코 안쪽 빈 공간을 부비동과 비강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생기는 종양을 비부비동 종양이라고 한다. 비부비동 종양은 비대칭적으로 발생해, 코피, 코막힘 등과 같은 증상이 한쪽에만 나타난다.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 사람도 한쪽 코에서만 코피가 날 수 있다. 비중격은 코 중앙에서 코를 지탱하는 뼈다. 사람은 대부분 비중격이 휘어있는데, 그 정도가 심해 한쪽 코가 막힌 경우 ‘비중격 만곡증’으로 진단한다. 비중격 만곡증이 있으면 코 내부 공기가 제대로 순환하지 못해 특정 부위가 건조해지고 코피가 날 수 있다. 이때 한 쪽 코가 콧물 등으로 막혀있어, 반대쪽 코에서만 코피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