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무릎 아플 때, 온찜질 VS 냉찜질

신은진 기자

이미지

관절통은 증상에 따라 적절한 찜질 온도가 달라진다. /게티이미지뱅크
평소 무릎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은 일기예보를 보지 않아도 날씨를 알 수 있다. 장마의 시작과 함께 무릎 통증이 시작되는 탓이다. 이 통증은 류마티스관절염 뿐만 아니라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골관절염, 그리고 온 전신의 관절통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섬유근육통 질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

장마철 심해진 통증은 무작정 참기엔 괴롭고, 무릎이 쑤실 때마다 약을 먹자니 부담스럽다. 이럴 땐 상황에 맞게 적절한 찜질로 통증을 덜어보자.

◇열감 없으면 온찜질-열감 있을 땐 냉찜질
찜질을 할 때 가장 고민되는 건 온도다. 특정 온도의 찜질이 더 좋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더 좋은 찜질'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부종이나 열감이 없이 관절통이 있는 경우라면 온찜질이 좋다. 뜨거운 물주머니로 찜질을 해주면, 피부보다 더 깊은 조직의 온도가 변화돼 관절의 뻣뻣한 증상은 완화하고, 관절의 기능은 향상된다. 물론, 너무 고온의 열 찜질을 자주 반복하면 관절 연골 및 조직에 함유된 콜라겐의 파괴가 일어나므로 피하는 게 좋다.


냉찜질은 관절의 염증이 심해, 특정 관절부위에 열감이 있는 경우에 적절하다. 냉찜질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부기를 가라앉혀,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베개나 쿠션을 다리 아래 받쳐 다리를 심장 위치보다 높게 두는 것도 도움된다. 다리 쪽에 흐르는 혈류량을 줄여주면 통증이 약간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스트레칭 늘리고 운동은 적당히
관절 통증을 줄이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적당한 운동과 충분한 스트레칭이다. 장기간 비가 오고, 저기압이라 통증이 심해졌다고 운동을 중단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운동을 중단하면 근육이 더 위축되고 약화해 관절 손상과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장마철이라도 꾸준히 관절에 좋은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낫다.

다만, 장마철에 통증과 뻑뻑함이 심해졌다면 운동시간을 줄이고 운동 전후에 스트레칭을 더 하는 게 좋다. 통증을 참아야 하는 무리한 운동은 관절을 해칠 수 있다. 노원을지대병원 류마티스내과 허진욱 교수는 “관절에 통증이 있을 때는 보통 운동을 중지하고 관절을 쉬게 하는 게 가장 좋다"며 "걸어야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통증을 참아가며 무리하여 걷는 것은 오히려 관절염을 악화한다"고 말했다.

허진욱 교수는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다고 호소하는 관절통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절주위의 통증이거나 근육통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실제 관절염은 관절이 많이 붓거나 열감이 동반되기도 하고 또 눌러서 아프거나 관절의 운동이 제한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며,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류마티스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