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부산 돌려차기 男, 사이코패스 지수 강호순 수준… 어떤 특징 보일까?

신소영 기자

이미지

부산 돌려차기 사건 CCTV 장면./사진=연합뉴스
부산 서면에서 귀가하던 20대 여성을 무차별 폭행해 의식을 잃게 한 '부산 돌려차기' 사건 가해자 A씨의 사이코패스 지수가 연쇄살인범 강호순과 같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 돌려차기 사건의 가해자 A씨가 사이코패스 진단검사(PCL-R)에서 27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5~2008년까지 아내, 장모 등 여성 10명을 살해한 혐의로 구속기소돼 2009년 사형 확정판결을 받은 강호순과 같은 수치다. 사이코패스 진단 검사는 '거짓말을 입에 달고 산다' '범죄를 저질러도 별로 양심의 가책을 안 느낀다' ‘매사가 충동적이다’ 등 총 20개 문항을 전문가가 직접 검사자를 보고 채점해 점수를 매기는 검사다. 총 40점 만점으로 한국은 통상 25점 이상이면 사이코패스로 간주한다. 일반인의 경우 15점 안팎의 점수가 나온다. 우리나라 주요 범죄자인 연쇄살인범 유영철은 38점, 아동 성범죄자 조두순은 29점, 최근 또래 살인을 저지른 정유정은 28점을 받은 바 있다.

사이코패스는 사회적 규범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득에 따라 타인의 권리를 쉽게 무시하고 침범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두려움, 죄책감, 슬픔, 분노 등도 잘 느끼지 못한다. 또한 충동적이고 즉흥적이어서 범죄를 충동적으로 저지른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A씨는 법원에 반성문을 11번이나 제출했지만, 정작 구치소에선 복수만을 이야기했다. A씨의 동료 수감자에 따르면 A씨는 구치소 내에서 ‘나가서 피해자를 찾아가 죽여버리겠다’ ‘더 때려주겠다’는 얘기를 2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범행의 목적이 ‘강간살인’으로 공소장이 변경된 뒤에는 “강간하려 했다면 과도한 폭력을 행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폭행 당시에 살인의 고의와 강간의 고의가 동시에 양립할 수 없다”고 납득할 수 없는 항변을 이어가기도 했다.


또한 A씨는 성인 재범 위험성 평가에서도 총점 23점으로 '높음' 수준을 받았다. 판결문을 보면 올해 31살인 A씨는 전과 18범으로, 이번 범행도 마지막 복역을 마친지 3개월도 안 돼 저지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A씨가 개선 교화의 가능성도 적고, 또 다른 범죄를 반복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고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사이코패스인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증상이 악화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뉴질랜드 오타고대 연구팀이 인격 장애를 가진 50세 이상 성인 1215명을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참가자의 93%는 나이가 들수록 반사회적 인격 장애나 사이코패스 증상과 같은 부적응적인 행동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이코패스는 보통 어린 시절부터 '품행장애' 증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품행장애가 있는 아동은 10~12세 이전부터 친구를 자주 때리거나 남의 물건을 훔치고도 태연한 모습을 보인다. 방화 수준의 불장난을 하기도 하며, 이유 없이 학교에 결석하는 경우도 잦다. 이러한 선천적 특성이 있는 사람은 성장 과정에서 폭력적인 성향이 굳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품행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은 조기에 상담이나 치료를 받는 게 좋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