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낮술'이 '밤술'보다 위험한 이유
이해나 기자
입력 2023/04/19 13:00
대낮 음주운전으로 인해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피해자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낮인 오후 2시 20분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만취 상태 운전자 A(66)씨가 몰던 차량이 인도로 돌진해 9살 여아를 치어 숨지게 해, 전 국민적 큰 공분을 샀다.
음주운전은 시간을 가리지 않고 금지돼야 하는 일이지만, 특히 낮에 술을 마시면 그 위험성이 커진다.
다사랑중앙병원 최강 원장은 "낮 시간대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 체내 알코올 흡수가 빠른 데다 낮에 마시는 술은 짧은 시간 내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어 더 빨리 취하기 쉬운 조건을 형성한다"며 "습관적으로 낮술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치료가 필요한 문제적 음주자이거나 알코올 금단 증상으로 인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체의 모든 활동이 감소하는 밤과 달리 낮에는 술을 마신 후에도 활동량이 많아 알코올로 인해 혈관이 더욱 확장돼 두통이 발생하고 숙취 현상까지 심화될 수 있다"며 "낮술은 자칫 알코올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피해야 하는 잘못된 음주 습관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편, 음주운전은 초범이 아닌 재범사례가 많은 편이다. 2021년 경찰청 통계 기준 음주운전 재범률은 44.6%로 나타났다. 7회 이상 상습 음주운전 적발 건수도 2018년 866명에서 2021년 977명으로 약 12.8% 증가했다.
다사랑중앙병원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알코올 의존증 환자 중 운전자 192명 가운데 음주운전을 경험해 본 환자는 무려 76%(146명)에 달했다, 이 중 61%(89명)는 3회 이상 음주운전을 해온 상습 음주운전자였다. 병원 관계자는 "실제 알코올 의존증 가족 상담을 할 때 남편 혹은 부모님 등의 음주운전 문제의 심각성 토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으는 실정이다.
음주운전은 왜 재범률이 높을까? 최강 원장은 "대낮에도 거리낌 없이 상습적 음주운전 행태를 보인다면 이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반증한다"며 "이는 강력한 규제와 형사처벌 외에도 음주운전자의 알코올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음주교육, 상습 음주운전자 알콜올 전문병원 치료 명령, 음주운전 시동잠금장치 설치 의무화 등 실정에 맞는 제도가 적극 개입돼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사랑중앙병원 최강 원장은 "낮 시간대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 체내 알코올 흡수가 빠른 데다 낮에 마시는 술은 짧은 시간 내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어 더 빨리 취하기 쉬운 조건을 형성한다"며 "습관적으로 낮술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치료가 필요한 문제적 음주자이거나 알코올 금단 증상으로 인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체의 모든 활동이 감소하는 밤과 달리 낮에는 술을 마신 후에도 활동량이 많아 알코올로 인해 혈관이 더욱 확장돼 두통이 발생하고 숙취 현상까지 심화될 수 있다"며 "낮술은 자칫 알코올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피해야 하는 잘못된 음주 습관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편, 음주운전은 초범이 아닌 재범사례가 많은 편이다. 2021년 경찰청 통계 기준 음주운전 재범률은 44.6%로 나타났다. 7회 이상 상습 음주운전 적발 건수도 2018년 866명에서 2021년 977명으로 약 12.8% 증가했다.
다사랑중앙병원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알코올 의존증 환자 중 운전자 192명 가운데 음주운전을 경험해 본 환자는 무려 76%(146명)에 달했다, 이 중 61%(89명)는 3회 이상 음주운전을 해온 상습 음주운전자였다. 병원 관계자는 "실제 알코올 의존증 가족 상담을 할 때 남편 혹은 부모님 등의 음주운전 문제의 심각성 토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으는 실정이다.
음주운전은 왜 재범률이 높을까? 최강 원장은 "대낮에도 거리낌 없이 상습적 음주운전 행태를 보인다면 이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반증한다"며 "이는 강력한 규제와 형사처벌 외에도 음주운전자의 알코올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음주교육, 상습 음주운전자 알콜올 전문병원 치료 명령, 음주운전 시동잠금장치 설치 의무화 등 실정에 맞는 제도가 적극 개입돼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