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폐 빠르게 식별할 수 있는 ‘이 검사’

오상훈 기자

이미지

일명 아기 말투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아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기 말투’(baby talk)에 대한 아기의 집중도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기 말투는 ▲과장된 억양 ▲간단한 문법 ▲높은 음조 ▲느린 템포 등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가 아기에게 구사하는 언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의대 연구팀은 아기 말투에 대한 아기의 반응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12개월에서 48개월 사이 653명의 영유아에게 1분 간 동시에 두 개의 비디오를 보여줬다. 하나는 여배우가 아기 말투로 말하는 모습이 담겼고 나머지 하나는 분주한 고속도로나 추상적인 모양이 나타나는 내용이었다. 연구팀은 아기들의 집중도를 수치화할 수 있도록 안구운동검사를 실시했다. 해당 데이터 수집은 2018년 2월부터 2021년 4월에 이뤄졌다.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653명의 영유아 중 422명(64.62%)이 자페스펙트럼장애 진단을 받았다. 104명(15.93%)이 발달지연, 127명(19.45%)은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안구운동검사 결과는 그룹별로 달랐다.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94%는 1분의 시간 중 30% 미만만 여배우에 집중하는데 사용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없는 영유아들은 평균 80% 이상을 여배우에게 집중하는 데 할애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와 영유아들이 성인의 말투보단 아기 말투에 더 많이 집중한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기 말투’에 반응이 약하다는 건 장차 언어능력과 사회성이 결여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결론지었다. 문화와 나라가 달라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연구의 저자 피어스 박사는 “이렇게 간단하고 빠른 테스트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 식별할 수 있다는 데에 정말 놀랐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진단과 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실렸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