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으로 머리카락을 돌리거나, 손톱을 깨물거나, 살을 꼬집는 등 반복적인 행동을 한다면 완벽주의자 성향일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 연구팀은 행동과 성향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4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 중 절반은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행동 증상을 보인 사람을 모집했고, 나머지 반은 대조군으로 두기 위해 강박행동이 없는 사람으로 구성했다. 연구팀은 먼저 실험참가자들에게 성향에 대한 테스트와 지루함, 분노, 짜증, 긴장감, 죄책감 등 다양한 감정에 대해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이후 각 감정을 자극하는 상황에 놓이도록 했다. 예를 들어 빈방에 혼자 6분 동안 둬 지루함을 유발하는 식이다. 모두 비디오로 상황을 찍어 어떤 행동을 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게 측정된 사람일수록 불안하거나 지루할 때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휴식을 취할 땐 반복 행동 횟수가 적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은 주로 상황이 불만족스럽거나 조바심이 날 때 나타나는데, 완벽주의자일수록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거나 생산적이지 못한 상황에 더 큰 불만을 느낀다"며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게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자극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행동 치료와 실험정신의학 저널'에 게재됐다.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 연구팀은 행동과 성향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4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 중 절반은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행동 증상을 보인 사람을 모집했고, 나머지 반은 대조군으로 두기 위해 강박행동이 없는 사람으로 구성했다. 연구팀은 먼저 실험참가자들에게 성향에 대한 테스트와 지루함, 분노, 짜증, 긴장감, 죄책감 등 다양한 감정에 대해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이후 각 감정을 자극하는 상황에 놓이도록 했다. 예를 들어 빈방에 혼자 6분 동안 둬 지루함을 유발하는 식이다. 모두 비디오로 상황을 찍어 어떤 행동을 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게 측정된 사람일수록 불안하거나 지루할 때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휴식을 취할 땐 반복 행동 횟수가 적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은 주로 상황이 불만족스럽거나 조바심이 날 때 나타나는데, 완벽주의자일수록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거나 생산적이지 못한 상황에 더 큰 불만을 느낀다"며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게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자극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행동 치료와 실험정신의학 저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