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곧 추석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처음 맞는 명절이라 친지들을 만나러 고향으로 향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도로가 막혀 오랜 시간 운전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을 듣는 것을 추천한다. 정서적으로 안정돼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가사 없고 부드러운 노래, 심박수 낮춰
운전할 때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을 들으면 정서적으로 안정돼 심박수가 낮아진다. 실제로 영국 브루넬 유니버시티 런던·말레이시아 사인스대 등 공동 연구팀이 3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가사가 있고 시끄러운 음악 ▲가사가 있고 부드러운 음악 ▲가사가 없고 시끄러운 음악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 ▲도시 교통 소음 ▲가사 읽는 소리를 틀어준 뒤,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추월을 시도하는 트럭, 빨간 불로 바뀐 신호등 등 여러 장애물이 등장하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했다. 이때 시끄러운 음악은 75dB, 부드러운 음악은 60dB 정도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을 들을 때 정서적으로 가장 안정됐다. 참가자들은 운전 중 시끄러운 음악을 들으면, 부드러운 음악을 들을 때보다 평균 37% 더 자극받았다. 특히 여성은 가사가 있는 음악을 들을 때 심박수가 많이 올라갔다. 연구 저자인 코스타스 카라게오르기스는 "운전하면서 음악을 들을 때 정신적으로 과부하가 걸려선 안 된다"며 "스트레스가 많은 도시 환경에서 운전할 땐 정신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부드럽고 가사가 없는 음악을 듣는 게 좋다"고 말했다.
◇운전 중 스마트 폰 사용, 음주 운전 맞먹어
음악은 옆 사람이 틀어주는 것이 좋다. 운동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사고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운전자가 눈을 감고 운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주행자가 시속 60km로 주행 중 2초간 스마트폰 화면 액정을 확인하면, 그 시간 동안 차량은 무방비 상태로 약 34m를 주행하게 된다는 도로교통공단의 실험 결과가 있다. 이는 졸음운전과 비슷한 수치다. 게다가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운전자의 반응시간도 낮아진다. 경적 등 주변 소리에 더욱 둔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미국 도로 교통 안전국은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은 혈중 알코올 농도 0.08% 수준에 달해, 이때 사고가 나면 중상 가능성이 스마트폰을 안 보고 있을 때보다 4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가사 없고 부드러운 노래, 심박수 낮춰
운전할 때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을 들으면 정서적으로 안정돼 심박수가 낮아진다. 실제로 영국 브루넬 유니버시티 런던·말레이시아 사인스대 등 공동 연구팀이 3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가사가 있고 시끄러운 음악 ▲가사가 있고 부드러운 음악 ▲가사가 없고 시끄러운 음악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 ▲도시 교통 소음 ▲가사 읽는 소리를 틀어준 뒤,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추월을 시도하는 트럭, 빨간 불로 바뀐 신호등 등 여러 장애물이 등장하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했다. 이때 시끄러운 음악은 75dB, 부드러운 음악은 60dB 정도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가사가 없고 부드러운 음악을 들을 때 정서적으로 가장 안정됐다. 참가자들은 운전 중 시끄러운 음악을 들으면, 부드러운 음악을 들을 때보다 평균 37% 더 자극받았다. 특히 여성은 가사가 있는 음악을 들을 때 심박수가 많이 올라갔다. 연구 저자인 코스타스 카라게오르기스는 "운전하면서 음악을 들을 때 정신적으로 과부하가 걸려선 안 된다"며 "스트레스가 많은 도시 환경에서 운전할 땐 정신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부드럽고 가사가 없는 음악을 듣는 게 좋다"고 말했다.
◇운전 중 스마트 폰 사용, 음주 운전 맞먹어
음악은 옆 사람이 틀어주는 것이 좋다. 운동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사고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운전자가 눈을 감고 운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주행자가 시속 60km로 주행 중 2초간 스마트폰 화면 액정을 확인하면, 그 시간 동안 차량은 무방비 상태로 약 34m를 주행하게 된다는 도로교통공단의 실험 결과가 있다. 이는 졸음운전과 비슷한 수치다. 게다가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운전자의 반응시간도 낮아진다. 경적 등 주변 소리에 더욱 둔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미국 도로 교통 안전국은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은 혈중 알코올 농도 0.08% 수준에 달해, 이때 사고가 나면 중상 가능성이 스마트폰을 안 보고 있을 때보다 4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