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우울해…' 실제로 심장도 병들게 합니다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우울증이 심장병의 하나인 심방세동을 유발한다는 우리나라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엄밀히 말하면 우울한 기분은 뇌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우리는 '너무 슬퍼. 심장이 아파'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관용적 표현이 아닌, 실제로 그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김윤기,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팀이 국내 빅데이터를 분석해 우울증이 심장병의 하나인 심방세동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불규칙하게 빠른맥이 나타나는 부정맥 질환으로, 뇌졸중·심부전·심장판막질환 등과 관련이 있다. 지금까지 우울증과 심방세동 위험 사이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중 심장 건강에 이상이 없고 20세 이상인 500만명을 대상으로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경우 심방세동의 위험이 1.25배 높았다. 우울증 재발 에피소드가 없는 경우 1.17배, 재발 에피소드가 있는 경우는 1.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발병위험이 높았다. 20~39세 그룹에서 1.58배로 가장 높은 연관성이 나타났다.

최종일 교수는 “우울증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뿐만 아니라 심장 건강도 꾸준히 살펴, 뇌경색, 치매, 심부전 등의 중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방세동을 조기에 예방해야 할 것”이라며 “젊은 층에서 우울증이 있으면 심방세동의 발병 위험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기에, 젊다고 건강을 과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김윤기 교수는 “심방세동의 발생을 조기에 진단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경우 완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 있는 경우, 심장 건강에 대한 적극적이고 주기적인 검사가 권장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사협회 공식학술지 자매지 '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