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심방세동 재발률, 심장 구조보다 '이것'봐야 정확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왼쪽부터 고대안암병원 부정맥센터 심재민, 김윤기 교수./사진=고대안암병원

심방세동 재발률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최근 확인됐다.

심방세동은 심장리듬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으로, 뇌경색, 치매, 심부전, 및 사망률 증가 등 다양한 중증 합병증 발병 위험을 키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전극도자절제술로 치료 후 심방세동 재발을 안정적으로 막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진 전통적으로 재발률 예측은 좌심방의 직경 측정을 통해서 이뤄져왔다.

그런데 최근 고대안암병원 부정맥센터 연구팀(심재민 교수, 김윤기 교수)이 좌심방의 구조적 변화보다 전기신호의 변화를 더 나은 예측도구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심방세동으로 전극도자절제술을 받은 3120명의 환자 중, 심장의 전기해부학적 매핑을 실시한 537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심방세동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 좌심방 근육 손상이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저전압 조직으로 관찰된다. 즉, 저전압 조직이 많이 관찰된다는 것은 좌심방의 근육 손상이 심하며 심방세동이 많이 진행된 상태라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결과 이 저전압 조직의 비율이 높을수록 심방세동에 대한 시술적 치료 후 재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좌심방의 구조적 변화인 좌심방의 직경을 통한 재발률 예측보다 통계적 예측도(area under curve = 0.676 vs. 0.592)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예후 예측의 미래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심재민 교수는 "심방세동을 치료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부정맥 유발 전기신호의 발생부위를 찾아 정밀하게 치료하는 전극도자절제술"이라며 "전극도자절제술을 통해 이상 전기신호를 차단하여 심방세동의 발생을 막는 것이 핵심이며 최근에는 고해상도 3차원 맵핑 기술을 통하여 저전압 조직 등 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표적을 더욱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윤기 교수는 “저전압 조직의 존재가 심방세동의 시술적 치료 후 예후 예측 인자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고 설명하며 “향후에는 저전압 조직을 시술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이 심방세동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심장학회지에 최근 게재됐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