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바람만 스쳐도 고통…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원인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문수아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외상이 사라져도 통증이 느껴진다면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팔이나 다리에 외상이 생기면 쓰라림과 욱신거림이 느껴지지만 상처가 아물면 통증도 말끔히 사라지곤 한다. 하지만 외상이 사라져도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이 있다. 바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후 특정 부위에서 신경병성 통증이 지속하는 질환이다. 외상이 완전히 사라져도 통증이 이어지며, 외상으로 인한 통증보다 훨씬 강한 통증이 느껴진다. 대부분 심한 조직 손상이나 수술 등을 겪은 후에 나타나지만, 발목 염좌와 같이 가벼운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급성 손상이 만성 통증으로 진행되는 정확한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는 통증의 정도를 '불에 타는 것 같다' 또는 '칼에 베이는 느낌이다'라고 표현한다. 옷깃에 스치기만 해도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통증을 억제하기 위한 연고를 피부에 얹기만 해도 고통을 느낀다.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도 통증을 완화하기 어렵다. 통증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혈관 운동 이상으로 피부색이나 질감이 변하고 관절 경직도가 증가하기도 한다. 이때 손·발톱이 부서지고 근육이 약화하는 경우도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신경전도검사·삼상골주사검사·체열검사·MRI 등을 통해 진단된다. 확실한 치료법은 없지만 항우울제, 마약성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교감신경 차단, 말초신경차단과 같은 신경 차단술도 치료법의 일종이다. 특히 불면증이나 우울증이 생길 가능성이 커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외상이 완전히 사라졌음에도 통증이 느껴지거나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