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상처 나았는데도 계속 아프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의심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외상이나 손상이 치유됐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진단을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외상이나 질환으로 인해 상처가 있으면 통증이 느껴지는 것은 당연하다. 상처를 치료하면 그에 따라 통증도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그러나 통증 자체가 질환인 경우도 있다. 이를 만성통증이라 부르는데,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대표적이다. 출산 시 느껴지는 고통만큼 심한 통증을 느끼는 병이라고 알려졌다. 평범한 일상을 망가트리는 무서운 병,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해 알아본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후 매우 드문 확률로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 심한 조직 손상이나 말초신경을 비롯한 신경계 손상이 있었던 후 발생한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게서는 발목을 삐는 정도의 가벼운 손상 이후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어떤 경로로 급성 손상이 만성 통증으로 진행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인한 통증은 일반적인 통증보다 훨씬 심각하다. 많은 환자들이 ‘타들어 가는 것 같다’ 혹은 ‘칼로 베이는 것 같다’고 묘사한다. 바람이나 옷 등이 스치는 정도의 약한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도 눈에 띄는 효과는 보이지 않는다. 통증뿐 아니라 혈관 운동 이상으로 피부색 변화나 부종이 오거나, 땀이 과도하게 나거나 나지 않기도 한다. 해당 부위의 손톱이나 발톱이 부서지고 위축되거나, 근육경직이나 떨림이 나타나기도 한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초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상이나 손상이 치유됐는데도 통증이 지속되고 피부색 변화, 부종 등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꼭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자신이 통증을 악화시키는 내·외적 요인을 조절하면서 의료진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 신경성 통증에 사용되는 항우울제,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다양한 약물치료와 함께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오랜 통증으로 인해 정신질환 위험도 높은 만큼 주변의 격려와 지지도 중요한 병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