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쉰 목소리 장기간 지속된다면 ‘이 질환’ 의심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장기간 지속된다면 성대결절이나 후두암, 인후두역류질환 등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목소리가 쉬는 원인은 다양하다. 큰 소리를 오래 내거나, 선천적으로 성대기능이 약한 경우, 감기에 걸린 경우 목이 쉴 수 있으며, 교사, 가수, 전화상담원 등과 같이 직업적인 원인에 의해 목이 쉬기도 한다. 문제는 충분한 휴식에도 불구하고 쉰 목소리가 최소 2주 이상 장기간 지속될 때다. 이 경우 단순히 목이 쉰 것이 아닌 여러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성대결절
쉰 목소리로 의심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은 ‘성대결절’이다. 성대결절은 성대 전반부 양쪽에 작은 결절이 생긴 것으로, 과도한 목소리 사용과 무리한 발성 등이 원인이다. 흔히 목소리가 부드럽지 못하거나, 고음에서 분열되고 중복음이 생기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러나 목소리 이상 외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보니, 질환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성대결절 초기에는 음성휴식, 음성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만성일 경우 수술을 고려한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치료뿐 아니라 음성 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침은 최대한 조용히 하고, 편안하게 목소리를 내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큰소리는 물론이며, 속삭이는 소리 역시 좋지 않다. 수분 또한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후두암
쉰 목소리는 후두암의 대표 증상이기도 하다. 목 앞쪽에 위치한 후두는 호흡, 기도 보호, 발성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후두암이 발생하면 후두 발성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서 음성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암이 진행되면서 호흡곤란, 천명(쌕쌕거림)을 동반하며, 기침, 각혈, 체중 감소, 구취, 혹 등의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후두암 치료에는 내시경적 레이저 수술과 개방적 수술,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수술법은 암의 진행 상태와 전이 여부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흡연자일 경우 후두암 예방을 위해 반드시 금연해야 하며, 특히 고령의 흡연자라면 후두 내시경 검사 등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게 좋다.

인후두역류질환
인후두역류질환 역시 쉰 목소리의 원인 중 하나다. 인후두역류질환은 위장 속 음식물, 위산 등이 식도를 통해 올라와 목 부위를 자극하는 질환으로, 식도·괄약근 운동 장애가 주요 원인이다. 쉰 목소리, 인두 이물감, 목 통증, 만성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역류성식도염과 달리 가슴 쓰림이나 신트림 증상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감기, 소화기 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착각할 수 있으므로, 의심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치료를 받도록 한다.

치료·예방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취침 3시간 전에는 음식 섭취를 삼가고, 맵고 기름진 음식 등 자극적인 음식도 피하도록 한다. 술, 카페인 음료, 초콜릿, 탄산음료 등 식도와 위장을 연결하는 괄약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식 또한 자제하는 게 좋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