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眼 자세히 보면…“고혈압·간질환 보인다”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 전혜영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눈 흰자에 붉은 점이 생겼다면 고혈압일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세상을 보여주는 눈은 ​우리 몸의 이상 증상을 보여주는 역할도 한다. 건강한 사람의 눈은 흰자가 깨끗하고, 검은자가 투명해 홍채 주름이 뚜렷이 보인다. 반면 눈에 붉은 점이 생기거나, 흰자가 붉거나 노랗게 변하고, 검은자 안에 하얀 띠가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각종 질병을 의심해야 한다.

◇흰자 위 붉은 점=고혈압

흰자에 붉은 점이 생겼다면 고혈압일 수 있다. 눈 흰자 위를 덮고 있는 얇은 막(결막) 속 혈관이 터졌을 때 붉은 점이 생기는데, 혈압이 높은 사람일수록 혈관이 잘 터져 이러한 증상이 쉽게 나타난다. 재채기 등으로 급격히 혈압이 올라 혈관이 터질 수도 있으니, 흰자에 붉은 점이 3번 이상 반복돼 생기면 고혈압을 의심해보는 게 좋다.

◇검은자 속 흰 테두리=고지혈증

검은자의 가장자리에 흰 테두리가 생겼다면, 고지혈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혈관은 검은자 가장자리 부근까지만 닿는다. 혈중 지질량이 높으면 혈관 끝에 지방이 침전되며 잘 쌓이기 때문에 검은자 가장자리 부근에 흰 테두리가 생긴다. 나이에 상관없이 한쪽 눈에만 유독 굵은 흰 테두리가 생겼다면, 목에서 뇌로 올라가는 혈관의 일부가 막힌 것일 수 있어 반드시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누런빛을 띠는 흰자=황달

눈의 흰자가 누런빛을 나타낸다면 황달을 의심할 수 있다. 황달은 간 질환이 있을 때 생긴다. 간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에서 만들어지는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을 분해한다. 만약 간 기능이 떨어지면 빌리루빈이 분해되지 못해 눈에 쌓이고 착색돼 누런빛을 띠게 된다.

◇흰자가 빨개지면=결막염, 안구건조증

충혈은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 같은 염증 질환이 생겼을 때 주로 발생한다. 충혈은 눈에 생긴 염증을 없애기 위해 혈액 공급량을 늘리면서, 혈관이 부풀어 올라 나타나는 증상이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