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봄철에는 축구 등 과격한 야외 운동으로 무릎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사진=헬스조선DB

최근 날씨가 풀리면서 동호회 등을 통해 주말마다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야외 운동은 전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잘못하면 오히려 관절 건강을 손상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추운 겨울동안 관절과 인대가 약해져있는데 축구나 야구 등을 하면서 갑자기 점프를 하거나,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하면 전방 십자인대 파열이나 반월상연골판 파열 등 무릎 관절 질환이 생길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 방치하다 퇴행성 관절염까지
봄철 야외 운동을 즐기는 사람에게 쉽게 발생하는 무릎 질환 중 하나가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다. 반월상연골판은 허벅지 쪽 대퇴골과 종아리 쪽 경골 사이 빈 공간을 채우고 있는 반달 모양 구조물이다. 크게 내측 반월상연골판과 외측 반월상연골판으로 나뉘는데,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갑자기 무릎을 뒤틀거나 반복적으로 무릎을 굽혔다 펴면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될 수 있다. 실제로 활동량이 많은 마라톤이나 축구, 농구 등 운동 중 방향 전환이나 급정지 등의 동작을 하면 연골판에 체중의 4~7배에 해당하는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가벼운 통증부터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지 못할 정도의 극심한 통증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관절 안쪽에 혈액이나 물이 차서 부어 보이기도 하며, 계단을 걸어 내려가다가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CM(씨엠)병원 슬관절(무릎) 이상훈 과장(정형외과 전문의 ·  슬관절)은 “반월상연골판 파열에 의한 관절 연골의 2차 손상은 퇴행성 관절염을 가속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무릎 관절의 구조, 전·후방 십자인대와 반월상연골판 / 사진=CM병원 제공

◇십자인대 파열, 통증 줄어도 다 나은 것 아냐…정확한 진단·치료 필수
‘전방 십자인대 파열’도 주의해야 한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이란 무릎 관절을 지탱하는 4개의 인대 중 무릎 회전과 전방 전이를 안정화시키는 두 개의 인대(십자인대)가 파열된 상태를 말한다. 점프를 한 뒤 무리해서 착지하거나, 빠르게 움직이다 갑자기 속도를 줄이는 경우,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에 피가 차 통증이 생겼다가 몇 주에서 몇 달이 지나면 통증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환자들이 ‘질환이 다 나았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면 심한 경우 무릎을 펴거나 구부릴 수 없고 걷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상훈 과장은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은 과격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에서 쉽게 발생한다”며 “통증이 일시적으로 줄었다고 질환이 치료된 것은 아닐 수 있으므로 일단 통증이 생기면 관절 전문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X-ray로 놓치기 쉬워, MRI 검사 받아야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은 단순 방사선사진(X-ray)이나 CT촬영(컴퓨터 단층촬영)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병원에서 단순한 좌상이나 염좌로 진단받아 엉뚱한 치료를 받기도 한다. 이 과장은 “두 질환을 제대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MRI 검사를 통해 관절 상태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의 치료는 손상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까지 다양하게 진행된다. 손상이 심하지 않고 파열 부위가 작다면 염증을 줄이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법을 시행한다. 하지만 손상이 심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파열로 인해 무릎 관절에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대표적인 치료법은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 또는 부분 절제술이 있으며, 이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손상의 범위가 크고 파열이 만성이 되어 반월상연골판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라면 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십자인대 파열의 수술법은 관절경을 이용해 파열된 인대를 재건하는 재건술이 대표적이다. 이 과장은 “수술을 하면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약 1년 후에는 평소 즐기던 운동을 할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도록 평소 무릎 건강에 신경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급격한 움직임 삼가고, 관절 건강 돕는 운동 꾸준히 해야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활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이 필수다. 운동 중에는 과도한 점프나 방향 전환은 삼가는 것이 좋다. 평소 무릎 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하는 것도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다. 무릎 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법을 소개한다.

◎ 누워서 무릎 올리기




이미지
무릎 건강에 도움이 되는 누워서 무릎 올리기 운동 / 사진=CM병원 물리치료실 제공

▲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 깍지를 낀 양손으로 다리의 정강이를 잡는다. 손을 가슴쪽으로 천천히 당긴 자세를 5초간 유지한다. 해당 동작을 5회 반복한다.

◎ 무릎 진자 운동




이미지
무릎 건강에 도움이 되는 무릎 진자 운동 / 사진=CM병원 물리치료실 제공

▲ 의자에 바르게 앉아 허리를 등받이에 붙인다. 오른쪽 무릎을 폈다 굽혔다 하는 자세를 15회씩 2~3세트 반복한다. 왼쪽 무릎도 동일하게 시행하면 된다. 이 때 무릎을 펴면서 허벅지에 충분히 힘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