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어깨충돌증후군 치료방법…초기엔 '이것'만 해도 효과

김하윤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어깨충돌증후군 치료 방법은 냉찜질, 휴식, 견봉성형술 등이 있다/사진= 헬스조선 DB

팔을 올릴 때 어깨가 아프면 오십견을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어깨 뼈와 근육이 충돌하면서 통증이 생기는 '어깨충돌증후군'일 수도 있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요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관절의 지붕을 이루는 '견봉'이라는 뼈와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인 회전근 특히 극상근이라는 근육이 서로 충돌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한 질환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점액낭염, 회전건염, 회전근 부분파열, 회전근 완전 파열 등의 질환에 의해 어깨를 움직일 때 구조물들이 충돌되면서 나타나는 임상 증상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주된 증상은 △가만히 있을 땐 괜찮다가 팔을 머리 위로 들 때 통증이 느껴진다 △손과 팔을 등 뒤로 돌릴 때 아프다 △옷을 입거나 머리를 빗는 등 일상생활에서 어깨 통증이 느껴진다 △낮보다 밤에 통증이 심해진다 △팔을 움직일 때 어깨 속에서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난다 등이다.

초기에는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 자체를 피하면서 휴식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급성기에는 냉찜질을 하는게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 내 국소 주사요법을 통해 염증을 줄일 수 있지만 주사요법을 남용하게 되면 오히려 어깨 회전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치료들로도 통증이 지속되면 초음파나 MRI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하여 충돌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 질환을 파악해야 한다. 검사 결과 회전근 파열 등이 있으면서 증상이 심각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어깨힘줄과 충돌되는 견봉 부위를 다듬어주는 견봉 성형술과 함께 어깨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어깨 통증을 예방하려면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노인들의 경우 새로운 운동을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한다. 평소에 반복적으로 사용해 미세하게 손상이 있던 어깨 관절이나 힘줄, 인대가 갑작스런 운동으로 손상을 받아 찢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봄철에 운동을 새로 시작하는 경우, 가벼운 체조와 스트레칭부터 시작하고 가벼운 중량 운동으로 시작해 근력을 충분히 기른 후 본격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오십견과 목 디스크로 혼동 말아야

대부분 어깨 부위에만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심해지면 팔도 아프고 저릴 수 있고 뒷목도 아프기 때문에 목 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해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처음 통증을 느낄 때는 어깨가 결리거나 쑤시는 오십견(동결견)이나 가벼운 어깨 통증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정확히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가만히 있을 땐 괜찮다가 팔을 머리 위로 들 때 통증이 느껴진다 ▶손과 팔을 등 뒤로 돌릴 때 아프다 ▶옷을 입거나 머리를 빗는 등 일상생활에서 어깨 통증이 느껴진다 ▶낮보다 밤에 통증이 심해진다 ▶팔을 움직일 때 어깨 속에서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난다 등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