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자외선지수의 정의…'7.0' 이상이면 일단 주의해야

이민재 헬스조선 인턴기자

뜨거운 여름철, 내리쬐는 태양은 우리의 피부를 태우는 주범이다.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이 피부를 태우는 것이다. 화상의 위험까지 있으니 자외선은 그야말로 피부의 적이라 할 수 있다. 적을 알아야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법, 자외선 지수의 정의에 대해 알아본다.




이미지

자외선 차단제를 뿌리는 여성/사진 출처=헬스조선 DB

우선 자외선이란 태양광에 포함된, 우리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파장을 가진 광선이다. 자외선은 UVA, UVB, UVC로 나뉘는데, 이 중 UVC는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기 전 오존층에서 차단되고, 나머지 두 종류의 파장이 우리의 피부에 영향을 끼친다. 우리가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지수에서 PA는 UVA를 막는다는 의미이고, SPF는 UVB를 막는 의미이다. 각각 +가 많을수록, 숫자가 클수록 차단기능이 좋다.

자외선지수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남중시각에 땅에 도달하는 UVB의 양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자외선지수는 자외선의 강도를 0에서 9까지 10등급으로 나누어 나타낸다. 태양에 과다 노출될 때 위험성을 숫자로 알려준다. 보통 피부의 사람이 자외선지수 7 이상에 30분 이상 노출되면 홍반 현상이 일어난다.

자외선지수는 '매우 낮음(0.0~2.9) - 낮음(3.0~4.9) - 보통(5.0~6.9) - 강함(7.0~8.9) - 매우 강함(9.0 이상)'의 5단계로 표시된다. 자외선지수가 매우 강함으로 예보된 날은 약 20분, 강함으로 예보된 날은 약 30분 이상 햇볕에 노출될 경우 피부에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자외선지수는 기상청 홈페이지(www.kma.go.kr)의 생활기상정보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늘의 자외선지수는 6으로 보통이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