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오야기 박사가 추천하는 '장수 운동법'
65세 이상 노인 5000명 10년간 연구
빠르게 걷기 병행한 사람이 가장 건강… 운동은 청소·아이 돌보기로 대체 가능

아오야기 박사는 일본 군마현(縣)의 '나카노조'라는 마을에서 65세 이상 노인 5000명을 대상으로 10여 년간 연구해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이 책을 썼다. 나카노조 마을에 거주하는 77세의 한 여성은 전통 온천 여관을 운영했다. 그녀는 여관 일을 하느라 오전 5시부터 밤 9시까지 총 1만보 이상 걸었다. 다들 그의 건강이 좋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골다공증을 앓고 있었고, 넘어져서 골절이 된 경험도 있었다. 특별한 운동을 하지 않아 뼈가 약한 상태인데, 기모노를 입은 채로 종종걸음을 많이 걸어서 무리가 갔던 것이다. 65세의 다른 여성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아침·저녁 산책으로 매일 8000보 이상 걸었지만, 오히려 없던 당뇨병이 생겼다고 한다. 너무 천천히 걸어서 운동 효과를 전혀 못 봤기 때문이다.
이들처럼 '운동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도 병에 걸리는 노인이 많다. 아오야기 박사에 따르면, 운동한다고 모두 건강해지는 것이 아니며 '운동의 질'을 무시하면 없던 병이 생기기도 한다. 그렇다면 노인은 어떤 운동을, 얼마나 해야 할까? 아오야기 박사가 추천하는 '장수(長壽) 운동법'은 다음과 같다.

나카노조 연구에 따르면, 운동과 함께 빠르게 걷는 것을 균형있게 병행한 노인이 가장 건강했다. 빠르게 걷기란, 1분에 120보 정도 걸을 수 있는 속도를 말한다. 운동 10분, 빠른 걸음 6000보 정도가 바람직하다. 익숙해지면 운동 시간을 10분씩, 빠르게 걷는 것은 2000보씩 늘리면 된다. 우울증, 치매, 암, 심·뇌혈관 질환, 대사증후군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운동 대신 계단 오르내리기, 아이 돌보기, 바닥 쓸기, 대걸레질하기, 가벼운 짐 옮기기, 청소기 돌리기 같은 '중강도 활동'을 해도 마찬가지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20~30대에 적합한 운동은 야구·웨이트 트레이닝·조깅 등이다. 운동할 여건이 안 된다면 아이나 반려동물과 몸을 써서 놀아주기, 집안 대청소하기, 잔디 깎기 등을 하면 된다. 40~50대는 태극권·아쿠아로빅·탁구·골프·배드민턴이 좋고, 자전거 타기, 반려동물과 산책하기, 풀 뽑기, 묘목 심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