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냉장고 안 식품 관리법, 고기에 식용유 바르면 오래 보관

허다민 헬스조선 인턴기자

냉장고 안 식품 관리법이 화제다. 최근 미국의 폭스뉴에서는 냉장고 안 식품 관리법을 소개해 냉장고 안 식품 관리법을 알아보는 사람이 많다. 냉장고 안 식품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육류
냉장고에 고기를 보관할 때는 유통기간을 잘 살펴야 한다. 고기의 모양이나 냄새 맛이 괜찮다고 해도 유통기간이 지난 고기는 위험할 수 있다. 붉은 육류는 유통기간이 4일 이상 지나면 먹지 않는 게 좋다. 냉동육은 좀 더 오래 둬도 괜찮지만 해동시켰다가 다시 냉동시킨 경우는 먹지 않아야 한다.
유통기간이 남은 고기를 보관할 때는 덩어리 고기의 경우 보관할 땐 표면에 식용유를 살짝 발라 주면 고기의 산화를 지연시켜 부패균의 증식이 억제된다. 큰 덩어리로 보관하지 말고 1회 사용량으로 나누어 식용유를 바르고 랩으로 싸서 냉동 보관해야 오랜 시간 신선함과 본연의 맛이 유지된다.
얇게 썬 고기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 덩어리 고기보다 빨리 상한다. 반드시 냉동실에 보관하는데, 이때는 진공포장이 가장 안전하다. 닭고기는 돼지고기나 쇠고기보다 냉장보관 기간이 좀 더 길다. 닭고기 표면에 식용유를 바르고 랩으로 씌우면 3~4일 정도 보관할 수 있다. 냉동할 때는 고기에 소금을 뿌린 후 청주 등의 술을 조금 부어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 채소와 과일
냉장고에 보관했지만 약간 마르거나 시든 채소는 살짝 데치거나 국물 요리로 만들 때 사용하면 먹을 수 있다. 채소와 과일을 보관할 때는 씻은 채소와 씻지 않은 채소를 분리해 보관한다. 씻지 않은 채소는 가능한 한 손질하거나 자르지 말고 통째로 신문지에 두세 번 싼 다음 채소전용 칸에 보관하되 상한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만 제거한다. 씻은 채소는 채반에 걸쳐 물기를 뺀 후 비닐이나 그릇에 담아 밀폐해 보관한다.

◇ 생선
생선은 냉장고에 하루 이틀만 두고 먹어야 신선하게 먹을 수 있다. 생선을 보관할 때는 생선 내장을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뒤 물기를 잘 닦는다. 그 위에 소금을 뿌리고 배 부분에 키친타월을 끼워 한 마리씩 랩으로 싸서 공기와의 접촉을 막는다. 온도 변화가 적은 냉장고 안쪽에 넣어 두는 게 좋으며, 5℃ 이하 냉장보관은 1~2일, 영하 16~18℃ 이하 냉동보관은 1~2개월이 적당하다.
음식점 등에서 먹다 남겨 싸온 생선 요리는 3~4일 정도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지만 먹기 전에 다시 열에 데워서 먹어야 한다. 생선 냄새가 강하면 먹지 않는 게 좋다.

◇ 달걀
달걀은 수분이 많아 실온에서 쉽게 상하지만 냉장고에 넣어 두면 3~4주 정도 신선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5주가 지난 달걀은 먹지 않는 게 좋다. 달걀 껍데기에는 수많은 공기구멍과 얇은 막이 있는데 이를 씻어낼 경우 막과 공기구멍이 파괴돼 속으로 세균이 침투할 수 있으니 달걀을 보관할 때는 씻지 않고 보관해야 한다. 달걀용 사각 플라스틱 박스는 뚜껑이 있어 달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하고, 달걀 껍데기에 있는 살모넬라균이 냉장고 안에 번식하는 것을 막아 준다. 또 달걀은 뾰족한 쪽이 위로 가게 보관하면 신선도가 오래간다. 달걀을 깨뜨렸을 때 노른자가 탄력 없이 흩어지면 신선도가 떨어진 것이니 되도록 빨리 먹어야 한다.

◇ 우유
우유는 시큼한 맛이 나면 상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유통기한이 남았더라도 겉으로 봤을 때 볼록하게 부풀었으면 상한 것이니 버린다. 또 우유에 덩어리나 막이 생겼거나 농도가 다르게 보여도 먹지 않는 게 좋다. 개봉한 우유를 보관할 때는 꼭 마개 혹은 클립으로 단단히 오픈 부위를 고정한다. 한번 개봉하면 부패 속도가 빨라지니 열고나서 최대한 빨리 마시는 게 좋다.

◇ 냉동식품
냉동식품은 다른 식품보다는 장기간 안전하게 먹을 수 있지만 너무 오래 냉동시키면 수분이 달아나서 맛이 없어지고 신선한 느낌이 없어진다. 따라서 오래 냉동시킨 식품은 퍼석해진 부분을 잘라내고 요리해 먹는 게 좋다. 아이스크림의 경우 바싹 마른 부분은 긁어내고 먹으면 신선하게 즐길 수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