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약사도 회진을? 전문임상약사 법제화 찬반 갈려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지난달 23일 한국병원약사회가 국회에서 개최한 '입원환자 약물안전관리를 위한 병원약사의 역할' 토론회에서는 전문임상약사 법제화에 대한 찬반의견이 오갔다.

전문임상약사 제도는 병원약사를 중심으로 임상경험을 갖춘 약사를 육성하자는 취지다. 일부 외국의 경우 병원약사가 의사와 협력해 약을 선택하거나 함께 회진을 돌고, 항암치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도 한다.

토론회에서 존스홉킨스대학의 정헌재 박사는 "현대 의약품은 다양하고 복잡해졌기 때문에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에도 전문임상약사가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약사가 생기면 환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취지다.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류호걸 교수 역시 "약사의 회진 참여 유무는 의미가 크다"며 "약사들이 전문지식을 토대로 여러가지 질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국내에 적용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대한병원협회 장호근 보험이사는 "지방의 경우 병원약사가 모자라 밤이나 휴일, 주말에는 약사가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라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전문약사를 증원하라고 하겠냐"고 말했다.

녹색소비자연대 조윤미 공동대표는 "법제화는 얼토당토 않다"며 "제도가 생기면 하는 일은 똑같은데 수가나 추가 비용만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 올 확률이 크다"고 말했다.
정부가 약물관리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말도 나왔다. 보건복지부 고형우 약무정책과장은 "전문임상약사 법제화는 안전장치 중 하나지만 중장기적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라 말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