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주부 권모(63·광진구)씨는 지난 6년간 밤새 무릎 통증에 시달려 편히 잠든 날이 하루도 없었다. 처음에는 통증이 생겼다가도 바로 사라져 '쉬면 나아지겠지'하는 생각에 가끔 약만 복용하며 대수롭지 않게 지냈다. 하지만 요즘 들어 통증이 심해지면서 매일 이용하던 집 앞의 낮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마저 어려워졌다. 권씨는 결국 병원을 찾았고, 의사는 '무릎 안쪽 연골이 모두 닳아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무릎 관절염을 치료한다고 하면 흔히 '인공관절 수술'을 떠올린다. 실제로,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으로 인한 관절 연골의 손상으로 관절이 정상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때는 특수 제작된 인공 관절을 삽입해 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한다. 환자에게 적합한 인공 관절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 수술의 만족도는 90% 이상이며, 무릎 인공 관절의 수명도 20-25년 정도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인공관절을 영원히 사용할 수는 없는 만큼 수술 전 주어지는 여러 선택들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본인 관절 최대 보존하는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무릎의 안쪽 연골만 닳아 있는 상태라면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이 효과적이다.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손상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무릎의 모든 관절을 제거하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에 비해 환자의 부담이 적다. 바른본병원 안형권 원장은 "관절염이 진행됐다고 해서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것은 좋지 않다"며 "환자 본인의 관절을 최대한 보존하는 치료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인대나 힘줄, 연골, 뼈 등을 모두 제거하는 인공관절 전치환술과는 달리 무릎 관절의 손상된 부분만 인공 관절로 치환해 손상된 부분을 제외한 환자 본인의 인대, 힘줄, 뼈 등 나머지는 모두 보존된다. 따라서 수술 후에도 관절운동이 정상에 가깝고, 절개 크기도 인공관절 전치환술의 반 정도(약 5cm)밖에 되지 않아 수술 후 통증이 적다. 재활과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며 수술 중 수혈이 거의 없고, 수술 후 출혈량도 적다. 수술 시간은 약 1시간 이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