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은 각막 깎는 것… 노안, 수정체 노화로 생겨

근시(近視) 때문에 어릴 때부터 안경을 썼던 직장인 윤모(40·서울 강동구)씨는 라식수술을 받고 싶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고민 중이다. 지인에게서 들은 부작용 중 가장 걱정되는 게 '노안(老眼)이 빨리 온다'는 것이다. 윤씨처럼 라식수술이 노안을 앞당긴다는 말 때문에 수술을 주저하는 사람이 실제로 적지 않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중년 이후 라식수술을 받고 먼 곳을 잘 볼 수 있게 되면, 가까운 게 잘 안 보이는 노안 증세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느껴져 그런 오해가 생긴 것이다. 라식수술은 각막을 레이저로 깎아 눈의 굴절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반면 노안은 각막보다 안쪽에 있는 수정체의 노화 때문에 생긴다.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탄력이 떨어져서 굴절력이 줄면 가깝게 있는 것이 잘 안 보인다. 이안안과 임찬영 원장은 "라식수술은 각막과, 노안은 수정체와 각각 관련이 있다"며 "각막을 깎는다고 해서 수정체 굴절력에 영향을 끼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라식수술을 한다고 노안이 빨리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왼쪽 사진)
라식수술을 받으면 오히려 노안이 왔을 때 눈의 피로감이 줄어든다. 라식수술을 받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근시가 미세하게 생기는데, 근시가 약간 있으면 근시가 아예 없는 사람에 비해 가까운 곳을 볼 때 피로감을 덜 느낀다.

한편, 라식수술을 받으면 나이가 들어 백내장이 왔을 때 치료하기 어렵다는 오해도 있다. 백내장은 노화 때문에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시야가 뿌옇게 되는 증상으로, 각막을 건드리는 라식수술과는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