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마르고 키 큰 흡연자' 폐서 공기 새는 기흉 위험 높아

이원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마르고 키가 큰 흡연자가 기흉(폐에서 공기가 새어 나와서 폐를 압박하는 질환)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6년간(2007년~2012년) 기흉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했더니, 기흉 환자가 2007년 2만4000명에서 2012년 2만6000명으로 연평균 1.9%씩 증가했다. 2012년 기준으로 남성은 2만3000명, 여성은 4000명이 진료를 받아 남성이 여성보다 6배 가량 많았다.

특히 폐질환이 없는 10~20대의 남성 중 주로 야위고 키 큰 체형에서 기흉이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흉으로 수술받은 환자의 연령 비중은 10대가 34.3%로 가장 컸고 이어 20대(21.8%), 30대(10.6%), 70대(8.9%) 순이었다. 인구 10만 명 가운데 기흉 수술환자는 25명이었으며, 연령별 10만 명당 환자 수는 10대(68명), 80세 이상(48명), 70대(40명) 순이었다.

기흉은 폐에서 새어나온 공기가 흉강(갈비뼈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쌓이면서 폐를 압박하여 폐가 작아지는 질환으로 대표적 증상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가슴통증이며, 기침을 동반한다. 기흉은 원인에 따라서 저절로 발생하는 자연기흉과 늑골 골절, 자상 등 외상에 의한 외상성 기흉이 있다.

자연기흉은 기존 폐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기흉이 발생하는 일차성 기흉과 결핵이나 폐기종, 폐암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기흉으로 나뉜다. 특히 일차성 기흉은 주로 10대에서 20대 후반 사이에 발생하고, 주로 야위고 키가 큰 체형의 남성에서 흔하며 흡연력이나 가족력이 있으면 발생율이 높다.

전문가들은 기흉을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특별한 요령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금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흡연에 노출되면 비흡연자보다 기흉 발생률이 20배 정도 더 높기 때문이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