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딱딱하고 답답한 각질, 이 운동으로 제거

헬스조선 편집팀

이미지

사진-조선일보DB
봄철, 여성들의 피부 관심사는 급상승한다. 화사한 계절에 맞게 하얗고 빛나는 피부를 갖고 싶은 욕망 때문이다. 이를 위해 여성들이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역시 묵은 각질제거. 화이트닝이 쉬워진다는 이유에서며, 그렇지 않으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더불어 피부염까지 발생시키는 원인까지 된다고 믿는다.

과연 묵은 각질이란 것이 존재하는 것일까. 사람마다 혹은 노화에 따라 다르지만 각질은 교환주기(보통 1달)가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의학적으로 묵은 각질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발꿈치의 굳은살 또한 피부조직이 건조해지고 딱딱해진 것일 뿐 역시 묵은 각질은 아니다. 한방에서는 이 때문에 굳이 각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생기한의원 박치영 원장은 “현대인들은 보통 적어도 2~3일에 한 번씩 샤워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때와 함께 불필요한 만큼 각질이 제거된다”며 “이를 무시하고 각질을 제거하다보면 유수분 밸런스를 조절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등 각질의 장벽기능이 약해져 아토피·건선 등 각종 피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고 말했다. 이 박 원장은 또한 “스크럽제에 들어있는 알갱이로 인해 피부에 상처를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져봐서 부드러운 질감이라고 해도 인위적으로 각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상처들이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토피·건선 환자의 각질제거는 그야말로 피부에 독이다. 이미 난 상처를 통해 세균이 침투해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를 자극할수록 피부가 얇아지고 피부 교체주기가 빨라져서 오히려 외부자극에 민감해지기 때문에 재발할 수 있는 위험도 높아진다.

아토피·건선 환자들은 각질제거는 물론 씻는 것조차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피부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세안 및 목욕제품은 되도록 피하고 물로 충분히 헹구는데 집중해야 한다. 뜨거운 물보다는 미온수를 사용하고 모공을 좁게 만들어주기 위해 찬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는 또 하얗고 빛나는 피부는 각질제거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몸속의 문제를 먼저 다스리고 충분한 수분섭취와 숙면을 통해 피부재생을 돕고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몸 속 노폐물을 배출해주는 것이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