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지금까지는 족욕이 혈액순환을 좋게 해 스트레스를 풀어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활성화되는 교감신경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현동 부산백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21~47세 성인 25명에게 43℃의 물을 담은 족욕기에 30분 동안 발을 담그게 했다. 족욕을 하는 동안 양 손등에 전극을 붙여 교감신경의 활성도를 측정하자 족욕 전 1.25㎷(1볼트의 1000분의 1)였던 활성도가 족욕 직후 0.57㎷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15분 뒤까지 0.67㎷로 효과가 유지됐다.

김현동 교수는 “교감신경 작용이 억제되면, 뇌에서 엔도르핀 호르몬 분비가 많아져 통증을 덜 느끼게 된다. 동시에 쉬거나 안정을 취할 때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활성화돼 피로가 풀리고 몸이 개운해진다”고 말했다. 족욕은 전신욕 등과 달리 심장이나 혈압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노인이나 고혈압 환자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단, 전신욕이나 반신욕을 할 때는 5분만 욕조 안에 있어도 몸이 이완되지만 족욕으로 같은 효과를 보려면 수면이 복사뼈 위 10cm까지 올라오게 한 상태로 최소 30분은 있어야 한다. 물 온도가 너무 높으면 교감신경이 오히려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수온은 최고 43℃를 넘기지 않는 게 좋다.

김 교수는 “족욕기에 지압 발판기나 기포 발생기 등의 부가기능이 있다고 해서 근육이완 효과나 진통효과에 큰 차이가 없으니 굳이 이런 기능이 있는 족욕기는 살 필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