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는 환자와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투석전문의에 대한 대국민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캠페인은 투석전문의에 대한 홍보 유튜브, 투석전문의 근무병원 목록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포스터와 QR code 명함 등을 통해서 좀 더 많은 환자들이 투석전문의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에서 안전한 투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캠페인을 주관한 황원민 이사(건양의대 신장내과)는 “아직도 투석전문의라는 용어에 생소해하는 환우가 많고 투석실에는 당연히 투석전문의가 근무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지만 실제는 그렇지 못하다”고 말했다.
학회 양철우 이사장(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은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혈액투석실 의료진 자격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며 "학회에서는 투석전문의제도가 정착될 때까지 체계적인 대국민 홍보를 전개하겠다”고 했다.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혈액투석실에 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 비율은 평균 75%로 혈액투석실 4곳 중 1곳은 투석전문의가 없다. 의료기관별로 보면 병원과 요양병원의 투석전문의료진 비율은 각각 52.3%와 39.7%로 평균치보다 현저히 낮다.
대한신장학회에서는 1999년부터 투석전문의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투석전문의 자격은 신장학 분야에서 전문의 자격을 획득하고 투석 환자에 대한 임상경험을 쌓은 의사에게 부여하며 일정 교육을 수료해야 갱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400여명의 투석전문의가 혈액투석환자를 진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