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가장 매력적으로 태어나는 달이 5월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폴란드 보르츠와프대 심리학과 피오토르 소로코프스키, 아그니에슈카 소로코프스카 교수 연구팀은 폴란드 유명 SNS 웹사이트 ‘fotka.pl’에 게시된 프로필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사이트 이용자들은 기본 개인 정보와 자신의 사진을 등록하고 서로의 매력을 1~11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가운데 21~23세 여성 5294명의 프로필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연구 결과, 5월에 태어난 여성은 다른 달에 태어난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은 '매력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9월과 11월에 태어난 여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매력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용자 평가 점수뿐 아니라 심리학 전공 학생 네 명을 별도 평가자로 참여시켜 두 데이터를 결합해 해당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는 사람의 ‘출생 계절’이 건강·면역·영양 상태 등 초기 발달 요인과 연관된다는 기존 연구 학설을 바탕으로 한다. 연구팀은 “출산에 있어 가장 건강한 시기는 2~5월이며, 아기는 생후 2개월까지 스스로 면역글로불린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태어났을 때 질병에 걸릴 위험이 가장 낮다”고 말했다. 즉, 초기 발달 환경이 성인이 된 뒤 신체적 특성이나 외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연구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연구가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만을 관찰한 결과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표본이 특정 연령·특정 국가 여성에 제한돼 일반화가 어렵다고 설명하며, 출생 시기와 성인기 신체적 특성의 연관성을 규명하려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일부 전문가들도 이 연구의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건강 전문 작가 산자나 굽타는 정신 건강 전문 매체 베리웰 마인드를 통해 “신체적 매력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며 “이 모든 요인을 면역력이나 영양과 같은 건강 문제와 직접 연결 짓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교육 문화 및 사회 저널(Journal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에 게재됐다.
폴란드 보르츠와프대 심리학과 피오토르 소로코프스키, 아그니에슈카 소로코프스카 교수 연구팀은 폴란드 유명 SNS 웹사이트 ‘fotka.pl’에 게시된 프로필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사이트 이용자들은 기본 개인 정보와 자신의 사진을 등록하고 서로의 매력을 1~11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가운데 21~23세 여성 5294명의 프로필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연구 결과, 5월에 태어난 여성은 다른 달에 태어난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은 '매력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9월과 11월에 태어난 여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매력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용자 평가 점수뿐 아니라 심리학 전공 학생 네 명을 별도 평가자로 참여시켜 두 데이터를 결합해 해당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는 사람의 ‘출생 계절’이 건강·면역·영양 상태 등 초기 발달 요인과 연관된다는 기존 연구 학설을 바탕으로 한다. 연구팀은 “출산에 있어 가장 건강한 시기는 2~5월이며, 아기는 생후 2개월까지 스스로 면역글로불린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태어났을 때 질병에 걸릴 위험이 가장 낮다”고 말했다. 즉, 초기 발달 환경이 성인이 된 뒤 신체적 특성이나 외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연구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연구가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만을 관찰한 결과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표본이 특정 연령·특정 국가 여성에 제한돼 일반화가 어렵다고 설명하며, 출생 시기와 성인기 신체적 특성의 연관성을 규명하려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일부 전문가들도 이 연구의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건강 전문 작가 산자나 굽타는 정신 건강 전문 매체 베리웰 마인드를 통해 “신체적 매력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며 “이 모든 요인을 면역력이나 영양과 같은 건강 문제와 직접 연결 짓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교육 문화 및 사회 저널(Journal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에 게재됐다.